쌀보리의 숨겨진 기능성 활용
- 전문가 제언
-
○ 보리의 종류는 이삭의 줄, 껍질의 분리성 및 찰메성으로 분류한다. 이삭에 달리는 낱알의 줄이 6줄이면 6줄보리, 2줄이면 2줄보리(맥주보리)라 한다. 보리이삭이 완전히 익은 후 껍질이 배유부까지 깊이 들어가 잘 벗기지 않으면 겉보리(피맥), 쌀처럼 도정 시 잘 벗겨지면 쌀보리라 한다. 또 보리전분의 아밀로스 함량에 따라 20~25%이면 메보리, 5%이하는 찰보리라 한다.
○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은 밥용·가공용으로 쌀보리, 찰보리, 맥주제조용으로 맥주보리이며 자급률은 30%정도이다. 2012년 재배면적이 2008년 대비 51%선으로 절반이상 줄어들어 정부 수매까지 정지되었으나 2013~14년에는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 보리는 수용성 식이섬유인 β-글루칸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GABA에 의한 혈압상승 억제, 안토시아닌의 항산화 효과 등 기능성 물질과 칼슘, 비타민 B군, 칼륨 등이 다량 함유한 건강식재이다.
○ 곡물 중 보리는 수용성 식이섬유(압맥: 수용성 3.6g; 불용성 6.0g/100g)를 가장 많이 함유한다. 보리의 식이섬유(β-글루칸)의 기능은 변비해소, 혈중콜레스테롤 저하, 식후 혈당치 저하, 대사증후군 개선, 면역력 향상, 장내 균총의 개선, 고혈압의 개선 등이다. 곡류 중 찰보리는 GABA 함량(현맥 94.8mg/100g)이 가장 많아 혈압 강하 작용,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신장기능 장해개선, 정신안정 작용 등이 밝혀져 있다.
○ 보리에는 lutonarin, saponarin, β-glucan 외에 다양한 폴리코사놀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이 보고되고 있어 새로운 기능성 식품으로서 재조명되고 있다. 보리의 종자에서 싹이 1~3개 자란 새싹 추출물에는 hexacosanol이 혈중지질대사(이진, 2014), 당대사 효과가 보고되었다.
○ 고령화, 생활습관 변화 등으로 인한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 예방 및 면역력 강화를 위해 건강기능성이 새롭게 부각되는 쌀보리를 일상적으로 즐겨먹는 식품에 활용이 필요하다. 맛있게 먹으면서 저절로 건강에도 좋은 성분을 섭취하는 제품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Watanabe Yasuo, Shimizu Me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57(1)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65~70
- 분석자
- 최*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