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양한 구름입자 수농도에 따른 강수입자 분포 영향 조사

전문가 제언

대기 중에서 구름은 주위의 수분을 흡착하는 응결핵으로서 직경 1㎛ 크기의 에어로졸 주위에 수증기가 모여들어 성장된 수적이다. 구름 입자의 크기는 평균 10㎛ 내외로서 최고 20-25㎛ 빗방울이 될 수 있는 임계 빗방울 크기로 성장하려면 주위에 더 많은 수분이 공급되어야 한다. 즉 강수입자는 평균 1mm 크기로서 10㎛ 크기의 구름입자가 백만개가 공급되어야 강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 구름속의 입자가 어느 정도 크기로서 얼마나 많이 모여 있는가? 그리고 어떤 수직분포로 부유하고 있는가에 따라 호우의 발생과 스톰의 지속시간, 강우강도 그리고 지상의 강수량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구름 속에는 강수입자와 구름입자가 공존하므로 이들이 대기 중에 부유하여 구름을 통과하는 비행체와의 충돌효과는 오늘날 첨단기기 사용시대에 통신과 항공 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구름의 민감도를 분석하여 추정한 결과로서 구름 속 액체입자의 크기분포를 2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20㎛ 이하 크기의 미세구름입자는 단일입자분포(monodisperse size distribution)로, 그이상의 조대 빗방울은 M-P입자크기 분포로 그리고 모든 크기의 입자에 대해서는 K-M 입자크기로 분포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K-M 크기분포로 되어있는 입자들의 양이 많을 때 다양한 입자가 쉽게 서로 결착과 병합이 이루어져 구름입자의 강수입자 변환이 쉽게 이루지고 호우의 원인이 된다. 반면에 구름입자의 양이 적을 때에는 조대입자들의 증발과 빙정에 대한 포화가 용이해져 강수효과가 적어지고 잠열의 발생으로 상승기류가 활발해져 강수입자의 낙하를 방해한다.

 

강수입자의 크기분포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강수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경제, 과학, 농업, 군사 분야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강수입자의 수직분포를 지역별 계절별 수집 분류 DB화는 오늘날 해결하여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저자
Nemanja Kova?evi?, Mladjen ?ur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58()
잡지명
Atmospheric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6~49
분석자
오*남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