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북한을 포함한 동아시아 한대지역 토양해충

전문가 제언

식용작물에 대한 토양해충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조한 토양에 같은 작물을 재배하고 있고 거기에 토양살충제가 없거나 살충제를 쓸 수 없기 때문에 오는 결과이다. 지역의 해충에 대한 식별이나 생물학적인 지식이 부족해서 새로운 관리전략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곳도 있다.

 

동아시아의 한대지역(중국북동부, 러시아남동부와 남북한)을 중심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토양병해충을 검토했다. 다만 북한에서는 문헌조사에 한계가 있어 현장 조사를 추가했다. 적어도 53종의 통양곤충이 나타났으며 옥수수 해충 29, 곡물 해충 27, 대두 해충 19, 감자해충 19, 땅콩 16, 대두 이외의 콩 16, 묘목 포장 14종과 고구마, 양배추, 수수, 목화 등에서도 찾을 수가 있었다.

 

대다수의 종은 Melolonthidae (21%), Scarabeidae (15%), Noctuidae (13 %) 혹은 Elateridae (11%)과에 속하며 이 지역에서는 윤작작물종이 많지가 않고 해충도 장기간동안 토양에서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동북아시아 전체에서 같은 실정이며 농업시스템도 다양하고 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반을 차지하는 북부지역에서 토양해충과 관련된 피해는 1980과 1990년에 매년 530만 ha나 되며 이수치는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농업병해충관리가 종종 해충의 먹이사슬을 변화시켜 지역에 몇 가지 종만이 우위로 남게 되어 해충이 창궐하는 경우를 낳는다. 농업곤충 중에는 토양해충이 지상 해충에 뒤지지 않는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그러나 토양곤충은 지하에 숨어 있고 생활사와 지하생태에 대한 이해가 제한되어 있어 관리가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유전자전이 작물을 이용한 병충해 관리가 시도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그러한 시도를 거정하고 있고 복합적인 관리에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는 그러한 노력은 없어 이 연구를 통해 정보의 축적과 교환으로 효과적인 관리를 기대해 본다.

저자
Stefan Toepfe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87()
잡지명
Journal of Pes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67~595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