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발전의 LCA비교검토

전문가 제언

2014년 세계 재생에너지 정책네트워크(REN21)는 태양광발전(PV)이 2008~2013년에 55% 성장했으며, 2035년 누적 태양광발전량은 2010년(40GW)의 15배인 602GW로 증가할 것이고 누적 풍력발전은 2010년(198GW)의 5.5배인 1,100GW로 성장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LCA는 일관성과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여러 새로운 방법론을 개선하고, BOS의 구성부품을 LCA에 포함시키며 지상/옥상/건물입면/수면상 등 위치와 지역의 영향과 전과정비용까지 분석해서 평가하고 있다. 또한 nc-Si 박막형 PVs, CIS/CIGS, GaInP/GaInAs /Ge 등 새로 개발되는 PVs에 대한 LCA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태양광발전은 Si 결정질이 99%(mono Si: 72%, poly Si: 28%)로 많고, LCA 결과에서는 mono/polySi-PV의 지구온난화 영향이 44.5/29.6gCO2e/kWh로 풍력발전(12.6gCO2e/kWh)의 약 2배, EPBT는 2.65/1.74년으로 풍력발전(0.24년)의 10배 이상이며, 전과정비용도 130/116원/kWh로 풍력발전(93원/kWh)보다 많으므로 기술향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PV에 대한 LCA결과들을 검토한 것으로, 적용한 방법론은 Eco-Indicator99, CML2001, IPCC2007GWP100a, ReCiPe 등 기존 방법론과 하이브리드 LCA, meta-analysis 등 새로운 LCA방법론이며, PVs 종류는 Si-PVs부터 화합물반도체인 CdTe, CIS(CuInSe2)와 GaInP /GaInAs/GePVs 등이며, 중요한 분석범주는 EPBT, GWP, 미네랄고갈, 산성화, 부영양화와 토지이용면적 등이며, BOS구성부품을 범위에 포함하고 지역과 위치의 영향, 시스템경계와 비용평가를 강조했다.

 

PV의 LCA결과는 범위, 시스템경계, 지역, 위치 등과 평가방법론에 따라 차이가 많이 발생하므로 비교가 매우 어렵다. 우리나라는 건물옥상이나 입면, 도로변과 저수지 수면 등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중소규모의PV가 많이 필요하므로 이런 조건에 적합한 LCA기법이 필요하다.

저자
Saicha Gerbinet, Sandra Belboom, Angelique Leonar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38()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47~753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