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vada의 지열 관련 광물에 대한 원격탐사
- 전문가 제언
-
○ 원격탐사는 탐사 대상으로 하는 물체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고 물체에 관련된 자료들을 취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든 물체는 자신만의 독특한 전자파를 방출, 반사, 흡수 및 통과를 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항공기 또는 인공위성에 탑재된 카메라, 스캐너, 레이저 등과 같은 센서를 활용해서 이런 전자파를 수집·분석을 행하여 탐사대상물 혹은 현상 정보를 추출하고 해석하는 탐사기술이다.
○ 원격탐사의 장점은 광역적인 정보와 접근하기 힘든 곳의 정보를 쉽게 획득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초기는 비용이 많이 들지만 적은 인원과 비용을 통해 조사를 할 수 있다. 더욱이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해상도가 높은 영상을 취득할 수 있으므로 많은 선진국은 우주산업 분야의 위성영상 운용과 활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위성은 Landsat, SPOT, IKONOS, KOMPSAT, QuickBird, RADARSAT 및 IRS 등이 있다.
○ 이 글은 십여 년간에 걸친 Nevada 원격 지열탐사 자료를 재검토 하였다. 즉 지열자원의 지표 지시자인 광물과 열적 특성을 특성화하고 고해상도 항공탐사자료 수집을 위해 위성과 항공기탑재 계측기에서 획득된 탐사자료를 사용했다. 또한 원격식별검증과 광물도면 수정을 위해 현장위치와 샘플로부터 스펙트럼 자료 수집을 했다. 한편 광물도 비교 및 사이트 평가를 위해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다른 지질학적 정보와 함께 저장하였으며, 천부온도측정, 정밀지질매핑 및 지질구조분석을 위한 추가탐사 대상지역을 추천하였다.
○ 국내의 원격탐사는 해양, 재난 및 위험감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도, 수문학 및 지질재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화산, 활성열수 및 지열지역에 대한 온도, 지질구조 및 광물을 매핑 할 수 있는 공간분해 위성영상의 지질학적 활용이 미약한 형편이다. 특히 천부 지열자원의 확보와 지질구조 및 광물자원탐사를 위하여 가시근적외선/단파장 적외선 영상자료 이용에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 저자
- Wendy M.Calvi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53()
- 잡지명
- Geotherm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17~526
- 분석자
- 조*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