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조류산업 촉진에 유망한 방안인 바이오정제
- 전문가 제언
-
○ 수생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세조류는 단세포에서 다세포 형태에 이르는 종속영양 또는 독립영양의 광합성 유기체다. 본 논문 목적은 미세조류 기반의 바이오연료 생산 시나리오, 미세조류 연구와 상용화에 대한 좀 더 나은 이해를 돕고자 함에 있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미세조류 응용에 관련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그리고 바이오가스와 같은 부가가치가 높은 연료의 형태로 생산을 실현할 수 있는 미세조류 바이오정제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바이오정제는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연료와 바이오기반의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정유-석유화학을 대체하는 산업기술로 미생물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개발 가능한 기술이다. 세계적으로 바이오정제용 응용 시장은 2012년 3,428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 시장은 이후 12.6%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로 성장해 2018년에는 7,00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최근에 세계경제 침체와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바이오정제 공장의 경제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바이오정제는 석유정제와 마찬가지로 특수 화학제품, 벌크(Bulk)제품 등 다운스트림 생산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해왔다. 유럽은 R&D 투자가 활발한 편이나 바이오정제 신증설은 부진하고, 데모급 바이오정제 공장 신증설이 몇 건 추진되고 있으나 경기침체와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일부는 취소나 연기가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은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연료 신증설을 적극 지원하고 있지만, 유럽은 관망세를 보이고 있어 극명한 대조를 나타내고 있다.
○ 한국종합기술이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한 바 있는 바이오가스 정제기술을 활용해 도시가스 공급 사업에 본격 진출하며, 신재생에너지 등 사업다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환경부도 2020년까지 28개소의 바이오가스 정제소를 확충할 계획을 수립한 바 있어, 국내 바이오가스 정제시장은 지속적인 투자정책이 수립된 만큼, 시장선점이 중요한 관건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Liandong Zh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41()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376~1384
- 분석자
- 한*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