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세조류산업 촉진에 유망한 방안인 바이오정제

전문가 제언

수생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세조류는 단세포에서 다세포 형태에 이르는 종속영양 또는 독립영양의 광합성 유기체다. 본 논문 목적은 미세조류 기반의 바이오연료 생산 시나리오, 미세조류 연구와 상용화에 대한 좀 더 나은 이해를 돕고자 함에 있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미세조류 응용에 관련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그리고 바이오가스와 같은 부가가치가 높은 연료의 형태로 생산을 실현할 수 있는 미세조류 바이오정제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바이오정제는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연료와 바이오기반의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정유-석유화학을 대체하는 산업기술로 미생물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개발 가능한 기술이다. 세계적으로 바이오정제용 응용 시장은 2012년 3,428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 시장은 이후 12.6%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로 성장해 2018년에는 7,00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최근에 세계경제 침체와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바이오정제 공장의 경제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바이오정제는 석유정제와 마찬가지로 특수 화학제품, 벌크(Bulk)제품 등 다운스트림 생산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해왔다. 유럽은 R&D 투자가 활발한 편이나 바이오정제 신증설은 부진하고, 데모급 바이오정제 공장 신증설이 몇 건 추진되고 있으나 경기침체와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일부는 취소나 연기가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은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연료 신증설을 적극 지원하고 있지만, 유럽은 관망세를 보이고 있어 극명한 대조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종합기술이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한 바 있는 바이오가스 정제기술을 활용해 도시가스 공급 사업에 본격 진출하며, 신재생에너지 등 사업다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환경부도 2020년까지 28개소의 바이오가스 정제소를 확충할 계획을 수립한 바 있어, 국내 바이오가스 정제시장은 지속적인 투자정책이 수립된 만큼, 시장선점이 중요한 관건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Liandong Zh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41()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376~1384
분석자
한*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