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호주의 원전에 대한 여론조사 분석

전문가 제언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영향으로 지구온난화가 세계적인 이슈로 부각되면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화석연료에 대한 대체에너지로서는 원자력, 태양광/열, 풍력, 바이오매스 및 연료전지 등 재생에너지가 고려되고 있다. 재생에너지는 그러나 아직은 기존 대용량 발전소를 대체하기에는 발전단가나 용량면에서 충분하지 못해 원전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건설 가동되고 있는 실정이다.

 

원전은 무 탄소배출로 대용량 발전이 가능하여 청정에너지로서 적합하나 방사능 위험 때문에 공공수용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대국민 홍보 및 원전부지선정 시 주민의 동의를 받기위한 설득이 원전건설에서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국가차원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실제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7개국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결과 일본의 경우 응답자의 73% 정도가 원전건설이나 확대에 반대했고 지지자는 16%에 불과하고 프랑스의 경우 응답자의 68%가 원전건설을 반대하였다. 특히 독일의 경우는 원자력이용 반대가 81% 또는 전체응답자의 52%가 원전중단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The Asahi Shinbun, 2011).

 

국내의 경우 한국리서치의 원전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2014. 5월 1,000명, 19세 이상 성인, 유무선전화조사) 2013년 10월과 비교한 결과 원전에 대한 필요성은 83.5%에서 75.3%로 8.2%가 하락하였다. 원전증설 찬성은 40.3%에서 37.3%로 3.5%가 하락하였다. 반면 건설을 줄이자는 의견은 21.7%에서 27.3%로 5.6%가 증가하였다. 거주지 수용성은 35.7%에서 31.5%로 4.2%가 하락하였다. 선호하는 대체에너지원은 원전(46.8%), 화력(39.7%)으로 원전이 더 우세하였다.

이런 결과를 볼 때 아직은 원전에 대한 선호도가 양호한 편이나 원자력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여론조사 등 원전에 대한 국민인식에 대한 보다 충분한 조사 분석이 요구된다.

저자
Deanne K. Bird,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65()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644~653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