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물인터넷(loT) 보안관련 전망

전문가 제언

이종의 표준과 통신장비에 기인하여 기존의 보안 대응방안이 IoT 기술에 직접 적용될 수 없다. 기기 간의 연결 확장에 의해 다양한 환경의 보안 위협에 대처 가능한 유연한 인프라 구조가 필수적이다. 이 논문에서 조사연구를 통해 보안 이슈의 확인, 솔루션과 도전과제를 제시하고 미래 연구 분야를 제시한다. 내용은 IoT 보안, 프라이버시, 신뢰 관련 솔루션을 분석하며 주요 토픽은 인증, 기밀성, 미들웨어, 모바일 보안, 신뢰, 정책 강화, 프라이버시, 접근제어 등으로 구성된다.

 

이종의 기술과 통신표준 환경에서 IoT의 실질적 서비스 구현을 위한 보안과 프라이버시 보장과 관련하여 일치된 전망은 아직 없다. 설정된 보안 및 프라이버시 정책에 따라 솔루션이 설계되고 공급되어야 한다. 보안 미들웨어 측면에서 IoT 기술 및 통신기술 통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모바일에서의 IoT 보안 연구가 필요하다. IoT의 사용자 인증 관련 국내 기술 수준은 아직 지문, 홍채 같은 해부학적 인증과 심전도, 뇌파 같은 생체신호 인증의 단일 생체인식 인증 중심적이나 멀티모달(multi modal), 멀티팩터(multi factor)에 의한 다중 생체인식 인증 관련 연구와 상용화 개발이 필수적이고 시급하다.

 

2015년 IoT 보안 분야에서 일상생활과 밀접한 핫 이슈는 핀테크(Fin tech) 보안 분야이다. 지문결제 앱인 애플페이,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등 NFC와 생체인식 인증 복합 기술에 의한 모바일 페이 출시가 증가되고 있다. 생체인식 인증에 의한 결제 앱이 사용 부적응과 가맹점의 확대 지연, 해킹사례의 출현 등으로 아직 사용률이 저조한 편이나 향후 수요 및 보안수요 증가로 채택이 불가피하다.

 

생체인식 인증 분야에서 해외사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도는 7억5천만 인구의 신원등록에 지문과 홍채 등을 생체인증체계를 도입하여 현재 사용 중이며 일본, 영국, 브라질 등의 활용사례도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애플이 아이튠 가입자 8억 정도를 잠재적 생체인식 인증 기술 사용대상자로 하여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볼 때, IoT 보안 관련 국내 산학연의 연구 안목과 중단기적 산업화 대응이 절실하다.

저자
S. Sicari , A. Rizzardi, L.A. Grieco , A. Coen-Porisi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76()
잡지명
Computer Network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46~164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