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생균수 측정방법

전문가 제언

프로바이오틱스를 비롯한 여러 미생물에 대한 정확한 생균수 측정 기술은 학술적인 의의와 더불어 실제적 효용성이 대단히 큰 분야이다. 최근 프로바이오틱스의 세계 시장 규모는 21조에 이르고 있다. 세계 시장을 염두에 둬야 하는 우리나라의 관련 기업으로서는 보다 용이하고 실제 상태에 근접하는 생균수의 측정으로서 보다 합리적인 제품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프로바이오틱스 포함 제품의 생균수 측정은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 이외 항생제의 정확한 효능 평가 분야에서도 현재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과 한계를 갖는다. 즉, 현재 항생제 효능 측정 방법은 특정 균주의 배양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실제 억제 효과와는 차이가 클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 방법의 발굴, 검정에의 새로운 방법 도입 등이 요구된다. 항생제의 억제 효능과 아울러 근래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으로 관심이 큰 항생제 내성 평가 분야에서도 정확한 생균수 측정 기술이 요구된다.

 

미생물 생균수 측정 방법들은 시험 방법들에 따라서 많은 장단점을 갖고 있다. 배양하는 기술의 효율과 세균의 종류에 따라서 1,000배까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측정하고자 하는 세균의 종과 균주에 따라서도 적합한 시험 방법에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새로운 방법의 개발, 평가 및 도입을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와 관련성을 가지는 연구자와 규정에 관계하는 품질 관리 당국자의 상호 교류와 협력이 필요하다.

 

배양 이외의 방법으로 생균수를 측정하는 많은 방법들이 본 리뷰에서 소개되고 있다. 즉, 세균의 완전한 막의 존재를 바탕으로 실험이 개발된 ethidium monoazide-PCR 같은 방법들은 근래에 개발된 방법으로서 아직 여러 시험 조건들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조건의 정립이 해결될 때 현재의 배양에 기반을 둔 생균수 측정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새로운 생균수 측정 방법 도입을 위한 준비가 갖추어져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저자
Catherine Davi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03()
잡지명
Journal of Microbiological Method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9~17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