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제내성을 극복하는 신규 항암제의 유용성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암은 각종 조직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율적 증식능을 획득한 소위 악성 질환으로서, 현재, 항암제를 중심으로 하는 치료법이 주류이며 ATL 등의 일부를 제외하고 상당한 성적을 올리고 있다. 한편, 고형암의 경우는 조기발견에 의한 수술요법이 가장 확실하며, 진행 예, 수술 후에 후유증이 있는 경우 등에는 항암제요법이나 방사선요법도 수행된다. 항암제의 발전은 요즈음 현저하며, 부작용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게다가 효과를 보다 크게 향상시키는 약제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 항암제는 암세포증식의 억제를 위해서 개발된 치료제로서, 체내에 투여하면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를 공격하지만, 암세포는 증식이 빠르기 때문에 항암제에 의하여 공격을 받게 된다. 원래 암세포 증식이 느리면 암이 발생되지 않는다. 항암제 원리는 DNA 단계의 세포합성을 저해하는 것도 있고, 항암제마다 특성이 다양하다. 급성백혈병, 림프종, 고환암 등과 같이 항암제에 잘 반응하는 암의 주요 치료수단으로 사용되며, 다른 암의 환자상태나 경과에 따라서 치료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 항암제는 암에 따라서 잘 반응하는 종류가 다르고 부작용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의료진은 이를 파악하여 최선의 치료를 하게 된다. 대부분 항암제는 보험이 되지만 환자의 상태나 나이, 암의 진행 정도, 합병증 유무에 따라 보험이 안 되거나 특수한 신약 또는 아직 보험인정이 안 되는 표적치료제 등을 사용하게 될 수도 있다. 완치가 되지는 못하더라도 암세포 크기가 줄어들고, 사망에 이를 정도로 세포가 증식하는 것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항암제로 치료를 하게 된다.
○ 항암제는 물론 결과는 환자마다 천차만별이지만 효과는 확실히 있다. 그러나 항암제를 사용하게 되는 대부분의 고형암은 이미 수술로는 어쩔 수 없을 정도로 전이가 된 단계이다. 환자에게 있어서 이미 완치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 등으로 최대한 암세포 크기를 줄여서 남은 여생을 늘이거나 암으로부터의 고통을 줄여주는 데 의의가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자에게 있어서 부작용을 최소로 하며, 치료효과를 최대로 향상시켜서 완치시키는 항암제를 기대한다.
- 저자
- Naomichi Arima, Yohan White, Makoto Yoshimitsu, Toshiyuki Hama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66(1)
- 잡지명
- 化學工業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1~45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