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 가동성을 위한 자동차 에너지 시스템의 환경적 설계
- 전문가 제언
-
○ 현재 중국은 이미 설비제조의 대국이다. 그 중 농기계의 생산량은 592만 대로 세계 1위, 발전설비 생산량은 1.17억Kw로 세계 1위, 자동차 생산량도 1,350만 대를 돌파하면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자동차 공정에서 2030년 자동차 보유대수는 2.5억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휘발유차와 디젤엔진차의 비율이 8:2 정도로 휘발유차가 시장의 주류이고 전통자동차의 에너지 효율 제고와 온실가스 배출 감축 기술에 여전히 많은 노력을 들이고 있을 것이다. 2010년~2020년까지 하이브리드자동차와 전기자동차는 동반성장 할 것이나 2020년~2030년에 전기자동차가 신에너지자동차 영역의 주류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차량파워트레인(Vehicle Powertrain)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주 설계 기준은 전통시스템의 에너지 효율, 경쟁적인 원가와 가장 낮은 환경적 영향이다. 다목적 최적화 기술을 사용하여, 방법론을 만드는 혁신적인 결정은 개발 중이다. 가능한 설계해법은 기술적, 경제적 그리고 환경적 최적화와 직면한다.
○ 이 논문은 자동차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전기자동차에 대한 장치의 비용을 평가하는 방법론을 적용하고, 수명주기 관점(Life Cycle Perspective)에서 파워트레인 윤곽의 기술적 선택에 대한 환경적 영향을 나타낸다. 전기자동차의 물리적 모델은 자동차에 대한 비용 모델과 결합되고, LCA(Life Cycle Assessment) 기술이 환경평가에 사용되었다.
○ 저자는 최적화 방법론으로 다목적 진화알고리즘(Evolutionary algorithm)을 개발하였고, 동적 자동차 모델링에서 자동차 시뮬레이션 도구는 SIMULINKⓡ 이고 기계적 전기적 흐름에 바탕을 두고 있다.
○ 자동차의 물리적 모델과 유럽형 승인 공정을 위한 NEDC(New European Driving Cycle)이 동적계산에 사용되었다. 저자가 제시한 관계식과 상관 식을 수록하였다. 현장에서 실현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지만 이 분야 연구에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Zlatina Dimitrova , Francois Marech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76()
- 잡지명
-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019~1028
- 분석자
- 장*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