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바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가스 생산기술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1980년대 초 농촌지역 취사용 연탄 대체를 위해 축산폐기물을 혐기소화 하는 메탄가스 발생장치를 개발 보급하였다. 그 후 1990년대에는 급진적인 산업화로 이의 메탄가스화 기술은 대규모 혐기성 발효장치를 설계 및 건설 운전하면서 상업화가 이루어졌다. 지금은 세계적인 기술수준에 도달하여 플랜트 수출을 하고 있다.
○ 바이오매스로부터의 에너지생산은 많은 이점을 갖는다. 바이오매스 잔사처리비용이 낮고 에너지전환 효율은 다른 화석연료 생산베이스 기술과 비교하여 높다. 따라서 전력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바이오매스는 에너지전환기술 이외에도 유기비료를 공급하여 곡물생산을 증대시키고 청정?녹색환경을 촉진시킨다.
○ 바이오메스 자원으로부터 유도되는 바이오연료 및 바이오에너지는 석유대체를 할 수 있으면서 환경적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어 바이오에너지 생산 및 사용 잠재력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를 유도하는 다양한 프로세스와 이의 총체적인 이익은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검토함으로 얻게 된다.
○ 본 리뷰의 목적은 카사바 바이오매스 작물로부터 바이오가스로 전환할 수 있는 잠재력을 파악하는데 있다. 바이오가스 생산기술은 비록 역사는 깊지만 아직까지 극복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 이들 과제로는 바이오반응기 설계에 관한 한계점, 투입?배출데이터에 의한 프로세스관리 및 미생물 군의 역할을 아직까지 충분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 저자
- Vincent Okudoh, et.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39()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35~1052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