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분해성 접착 중합체
- 전문가 제언
-
○ 스텐트는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으로 이루어졌고 그 외부 표면의 일부에 분해성 접착 중합제가 부착되었다. 그 접착제는 수성환경에 노출되면 활성화되었고, 시간이 흐르면 분해된다. 그 분해성 접착 중합체에 적합한 표면 점착도는 약 2∼14 psi이었다.
○ 생분해성 접착 중합체 코팅으로 이루어진 스텐트에서 그 생분해성 접착 중합체는 일시적으로 치료 부위로부터 그 스텐트의 이동을 저해한다. 시간이 지나면 환자의 신체에서 분해되어 원하면 스텐트가 제거된다. 스텐트의 형성을 위하여 선택된 분해성 접착 중합체는 약 1주에서 90일 내에 신체에서 분해된다. 임시 스텐트에서 일반적인 제거 기간은 이식 후 6-8주이고, 접착제는 약 4-6주 사이에서 분해된다.
○ 스텐트는 체내의 막힌 공간을 뚫어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체내에 삽입된다. 스텐트의 세계시장 규모는 연간 12조원, 그 중 장기에 사용하는 비혈관 스텐트는 8000억 원 수준이다. 국내에서 동아 엠아이텍 스텐트는 니켈과 티탄을 섞어 만든 '나이티놀'이라는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를 숙련된 손으로 일일이 꼬아서 스텐트 제품을 만든다. 현재 주력 제품인 비혈관 스텐트를 중심으로 신장 투석 등의 질환으로 발생하는 혈관 재협착을 막기 위한 약물 코팅 인조 혈관을 연구하고 있다.
○ 생명의 그물망인 스텐트는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돌연사의 가장 큰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것이 심근경색이고, 국민 100명 중 1명이 협심증이다. 최근 4년 사이에 새 환자가 8만 명가량 증가하였다. 또한 나이가 들거나 암에 걸리면 몸속에 있는 혈관과 장기의 통로가 막힐 수 있다. 본 특허의 스텐트용 분해성 접착 중합체는 스텐트 사용의 증가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사려 된다.
○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국내에서의 스텐트 수요에 부응하고, 수출도 가능하도록 고부가가치의 스텐트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텐트에 사용 가능한 접착 중합체에 관한 연구가 필요시 되고, 천연물질을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의료용 분해성 접착 중합체가 한 예가 될 수 있다.
- 저자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20676
- 잡지명
- Dissolvable or degradable adhesive polymer to prevent stent migr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3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