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의 농업 응용에 관한 기초
- 전문가 제언
-
○ 최근 고전압과 플라즈마는 농업과 수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이 시도되고 있으며, 응용은 전기장에 의한 세포 쿨롱력과 대전(charging) 그리고 플라즈마에 함유된 화학적 활성종과 세포와의 반응 등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리고 최근의 응용연구에서는 전기장 및 플라즈마 의해 발생하는 이온 및 화학적 활성종과 생체와의 상호작용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 고전압과 플라스마의 농업 응용은 크게 수확 전과 수확 후로 구분되는데, 수확 전에는 파종?육종기술, 발아촉진?성장촉진, 방제기술, 수분기술, 균류 증산기술, 살균기술 등에 그리고 수확 후에는 농산물 선별?등급분류, 신선도 유지, 건조기술, 농업시설 집진기술, 냉동?냉장기술 등에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고전압 및 플라즈마의 수확 전의 응용은 농업의 생산성 향상에 그리고 수학 후의 응용은 유통비용 절감과 품질향상을 통한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다.
○ 본고는 농업 및 수산업 분야에서 고전압 및 플라즈마 응용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농산물의 품종개량, 발아 억제, 성장 촉진 및 성장 억제, 농약 살포의 효율화, 잡초 제거, 장기 보존 등에 관한 응용 사례를 소개하고, 세포의 전기 특성을 감안한 처리, 플라즈마 생성 이온과 라디칼의 살균 과정 그리고 전기장에 의한 생체반응 등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공업분야, 환경분야에서 플라스마 활용을 위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그리고 농업분야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농산물의 잔류농약 제거 그리고 충북대에서 정전기를 이용한 농약살포에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였는데, 근년에 품종개량, 재배환경 제어, 농약 살포, 식품가공 등에 고전압과 플라스마를 이용하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연구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저자
- TAKAKI Koichi, UCHINO Toshitaka, UCHIDA Satoshi, ODA Akinori, SATO Takechiko and KATSUKI Suna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90(9)
- 잡지명
- プラズマ核融合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34~540
- 분석자
- 이*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