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질병 및 사망위험이 높아지는 원인
- 전문가 제언
-
○ 노화하면(나이 들면) 세포 자람에 필요한 단백질들의 생성이 감소하면서 β-세포 량이 줄어들고 β-세포 기능장애가 일어난다. 이로 인해 자연적으로 β-세포 량 감소 → 인슐린 분비량 감소 → β-세포 기능 부족, 장애발생 → 당뇨병이 발생한다. 나이 들어 발생하는 2형 당뇨병은 간에 과도한 지방축적, 중성지방증가, HDL기능장애를 일으켜 활성산소증가, 염증발생, 아밀로이드 축적이 커져 이상혈중 지질 증, 심 혈관 질병을 많이 발생케 한다.
○ 당뇨병 환자의 35%가 당뇨병성 신장병을 앓고 있다. 이 신장병 사구체의 걸름작용에 장애가 있어 알부민 같은 단백질들을 소변으로 배설하여 단백질 결핍을 초래한다. 이로 인해 심 혈관 질병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높인다.
○ 가족력과 주 유전적인 생물학적 차이들이 이질성의 또 다른 원인이 된다. 예로서 100세 이상 사는 사람들의 자손들은 보다 긴 수명을 갖고 있으며 치매나 당뇨병에 걸릴 위험 가능성이 매우 낮다. 장수하는 사람들은 질병을 갖지 않게 하는 유전자들(예, IGF-1수용 체)의 발현이 높다. 서구에서는 장수유전자 연구가 활발한데 한국인에 대한 장수 유전자 연구는 초보단계에 있다.
○ 인슐린저항으로 2형 당뇨병으로 진행하면서 피브린(fibrin)농도가 높고 플라즈민 생성을 억제하고, 응고 요소들이 당화 되어서 단단한 응고현상이 나타나 응고를 녹이는 시간이 길어서 혈전이 일어나고 혈관내피 이상을 일으킴으로서 급성 심근경색, 심 혈관질병으로 사망 한다.
○ 심장이완 기능장애는 심장에 지방이 축적되어 심장움직임이 둔한 경직으로 나타난 초기증상이다. 운동과 식이요법을 병행해 정상혈당을 유지하고 쌓인 지방을 제거하면 심장이완 기능장애를 없애고 심장마비를 예방할 수 있다.
- 저자
- Jeffrey B. Halter,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63()
- 잡지명
- Diabet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578~2589
- 분석자
- 윤*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