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한외여과막 오염관리 기술

전문가 제언

지금까지 한외여과막 오염의 화학처리 작용 및 오염제거 작용에 대한 연구보다는 비가역적 손상을 가져오는 한외여과막의 열화(ageing)·노화에 대한 연구가 훨씬 적은 편이다. 그 이유는 한외여과막의 열화와 노화는 분리막이 필히 거쳐 가야 하는 한외여과막 생로병사의 필연적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한외여과막의 화학처리제 및 오염제거제 등의 성능과 효율이 크게 증가하긴 했지만 아직도 한외여과막의 화학처리제와 오염제거제에 대한 최적의 화학처리 및 오염제거 프로세스의 프로토콜을 작성하는 데는 그 데이터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한외여과막의 열화 및 노화에 대한 연구 발전이 훨씬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외여과막의 열화와 노화에 대한 화학처리와 오염제거 효율을 규명해야 하고, 열화와 노화에 따른 손상 메커니즘을 규명해야 한다. 한외여과막의 화학처리와 오염제거에 대한 최적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화학처리와 오염제거 및 열화의 상관관계를 개발해야 한다.

 

한외여과막의 오염이나 열화로 인한 막의 교체비용은 전체 운전 코스트(cost)의 25~40%를 차지하고 있고, 화학처리와 오염제거 코스트는 15~20%를 차지하고 있다. 막의 오염과 정화 및 열화로 인한 코스트는 상당한 편이다. 수처리 부문에서는 낙농부문보다 화학처리 코스트의 비율이 훨씬 적은 편이다. 수처리에서는 1달 혹은 1년에 몇 회 정도로 막을 교체하기 때문이지만 평균적으로는 4회/년 정도이다.

 

한외여과막의 적용성에서 우리나라는 낙농부문에서는 미비한 실정이지만 수처리 분야에서는 세계적 수준에 이르고 있고, 막의 오염과 재생에 대한 물리화학적 처리와 생화학처리에서도 세계적 수준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한외여과막의 열화 및 노화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준과 세계적 수준이 거의 모두 걸음마 단계에 있으므로 비용과 시간의 많은 투자를 필요로 하는 한외여과막의 열화작용 연구, 오염-열화의 상관관계 연구, 화학처리-열화작용의 상관성 연구에 많이 투자해야 한다.

저자
C. Regula, E. Carretier, Y. Wyart, G. Gesan-Guiziou, A. Vincent, D. Boudot, P. Moul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56()
잡지명
Water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25~365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