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브롬화 난연제와 관련되는 인체건강 리스크

전문가 제언

쉽게 연소하는 플라스틱의 단점을 보완하는 브롬화 난연제는 폴리브롬화 디페닐에테르(PBDEs),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TBBP-A), 헥사브로모사이크로도데칸(HBCD), 폴리브롬화비페닐 등을 포함하지만, 현재에는 세계적으로 데카 BDEs, HBCD와 TBBP-A만 사용되고 있다.

 

PBDEs는 5g/㎏ 이상의 급성경구독성을 갖으며, 간, 신장과 갑상선을 주요표적기관으로 하는 독성을 보인다. TBBA-P도 동물실험에서 고환무게, 테스토스테론 수준과 아로마타제 활성의 증가 등 생식독성을 야기한다고 발표되었다.

 

브롬화난연제에 대한 연구가 세계 각국에서 진행되었고, 일반적으로 유럽과 일본보다 북미에서 높은 농도가 관찰되었지만, 개인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허용 가능한 섭취량은 독성데이터에 불확실성 계수를 곱해서 계산한다.

 

인체에 대한 실험에서 성인보다 태아, 유아에서 그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의 원인으로는 모유로 성장하는 유아가 일반주민보다 20~30배나 많은 PBDE를 섭취하기 때문이다.

 

잔류성과 환경독성물질로 인식되는 브롬화 난연제 중에서 다이옥신을 생성시킬 수 있는 PBDEs와 폴리염화비페닐의 제조와 사용이 먼저 금지되었지만, 자연환경에서 장기간 잔류하고 생체에 농축되며, 그리고 다양한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2014년에 펜타BDE와 옥타BDE 등 일부 브롬화 난연제의 사용금지를 입법예고했고, 2015년부터 환경부에서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을 적용하고 있다. 브롬화 난연제가 인체에 유입되는 소스로는 어류와 생선기름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육류와 낙농제품이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필요하다.

저자
Jan L. Lyche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4()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70~180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