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계의 소듐냉각고속로 개발현황

전문가 제언

미국 에너지부(DOE)에 의하면 2035년의 세계 에너지소비량은 1995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며 전력소비량은 2008년의 2.6kWh2035년도에 4.9kWh로 대폭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대부분의 전력소비량 증가는 비 OECD 국가, 특히 중국과 인도 등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들 국가의 에너지 공급이 주로 석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친환경 대체에너지의 개발 및 보급 확대가 시급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국제사회는 그동안 원자력이 당면해온 고유안전성, 경제성, 지속 가능성, 핵확산저항성 등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함으로써 원자력이 화석연료의 주요 대체에너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GEN-IV, Generation-IV Nuclear Energy System)을 국제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한 국제포럼(GIF, Generation IV International Forum)2000년에 출범시켰다.

 

GIF에서는 차세대 원전의 후보노형으로 6가지 원자로 개념을 선정하였는데 GIF13개 회원국이 가장 기대하고 있는 것은 소듐냉각고속로(SFR, Sodium-cooled Fast Reactor)이다. SFR은 고속중성자를 이용하여 핵분열에서 발생하는 초장수명 핵종의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태워버릴 수 있어 방사성폐기물 문제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플루토늄(Pu)를 증식할 수 있으며 또한 폐쇄핵연료주기로서 사용 후 핵연료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GIF SFR의 국제공동 개발에는 미국, 프랑스,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영국, 캐나다, Euratom,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세계 원자력국가의 대부분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미국, 프랑스,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은 SFR의 향후 역할과 파급력을 고려하여 향후 시장 경쟁에서의 우위를 목표로 자체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SFR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 자료는 GIF와 각국의 SFR 개발현황을 요약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30년대에 혁신적인 고유개념의 SFR을 상용화한다는 목표로 당초에는 2017년까지 설계완료, 2028년까지 건설완료의 계획을 세웠으나 재정 지원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지금은 약간 지연되고 있다.


저자
Kazumi Aoto, Philippe Dufour, Yang Hongyi, Jean Paul Glatz, Yeong-il Kim, Yury Ashurko, Robert Hill, Nariaki Ut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7()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47~265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