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친화성이 우수한 의료용 접착제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의료용 감압접착제는 상처봉합이나 드레싱 등에 적용이 매우 편리하고 유용한 소재로서 근년 생체적합성과 습윤 접착력의 향상을 위한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의료용 접착제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피브린 계열의 접착제가 대중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그러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짧은 시간에 경화되고 접착강도가 크지만 충격에 약하고 조직 독성이 있다. 또한 피브린 글루는 넓은 부위에 쉽게 도포가 가능하고 지혈효과가 크지만 접착강도가 약하고 혈액성분이 섞여 있어 감염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들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내부조직 수술용으로는 적합하지 않고 생화학적 반응으로 가교된 자연물 고분자가 이 용도로는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이 발명은 단일 중합체, 공중합체와 실리카로 구성된 고분자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접착제는 우수한 접착력과 피부친화성 및 제거 시에 통증이 없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접착 면에 손상 없이 잔존물이 남지 않으며, 자연적인 항균활성을 발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허청구권을 보면,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고 실리카 및 식물성 오일 등을 첨가한 것이 특징이며, 주로 배합성분에 치중한 것으로 참고할 때는 배합성분 및 첨가비율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최근 홍합이나 모래성 벌레 등 생물체가 분비하는 점액을 모사하는 생체모방 접착제의 개발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포항공대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연구팀은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KIMST)의 ‘해양신물질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홍합이 분비하는 점착단백질(홍합의 족사)에 착안한 생체모방 기술과 유전자 재설계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생체접착제의 개발에 성공했다.
○ KIMST는 2014년 11월 4일에 포항공대 산학협력단, 치과재료 전문기업인 푸르고와 함께 홍합 바이오접착 기술이전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으며, 2년 내에 제품을 출시할 목표를 세웠다. 홍합 접착단백질 기술을 활용한 접착제가 상용화되면 수입대체 효과뿐 아니라 세계 의료용 접착제 시장에서 높은 기술경쟁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EUROMED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68726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2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