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필터의 응용 현황과 금후의 과제
- 전문가 제언
-
○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폐질환 및 사망사건 이후, 실내 공기질과 건강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공기청정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최근 중국으로부터 날아오는 황사나 스모그에 인체의 심혈관이나 호흡기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매우 해로운 초미세 먼지가 다량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 보도되면서 가정용 공기청정기에 고성능 필터인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를 채용한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이 글에서는 현재 에어필터의 개발현황과 문제점 및 장래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정리하고 있다. 환기가 필요한 한정된 공간 중의 공기 청정화에 에어필터를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하더라도 현재의 에어필터가 안고 있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지적함과 동시에 공기청정 이외의 에어필터의 용도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 1994년부터 우리나라의 각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미세먼지 오염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컨/히터 시스템에 항균정전 필터를 장착하고 있다. 한편,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웅진코웨이, 청호나이스 등의 실내 공기청정기 제품의 사양을 인증하는 CA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 특허청의 보도자료(2014년 1월 27일자)에 따르면, 최근 10년(‘03~’12년) 동안 가정용 공기청정기 관련 특허출원은 총 370건이며, 이중에서 전기집진방식이 222건, HEPA필터 방식이 148건으로 전기집진방식의 출원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09년 이후부터는 전기집진방식의 출원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에 HEPA필터 방식의 출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향후 중국발 미세먼지의 해결에는 상당기간이 소용될 것이 예상되므로 국내 가전업계에서는 동북아 시장을 겨냥하여 초미세먼지 제거용 공기청정기에 적용할 수 있는 고성능 필터로서 유리섬유 소재로부터 탈피하여 고분자 소재, 금속섬유 소재, 세라믹스 소재 등을 이용한 HEPA필터의 개발 및 특허확보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Y. Otan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2(2)
- 잡지명
- 空氣淸淨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9~74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