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동형 애드혹망의 진화

전문가 제언

이동형 다중 홉 애드혹 망(mobile multihop ad hoc network)은 이동형 애드혹 망(Mobile Ad hoc NETwork, MANET)구조를 갖고 특정 망 인프라가 없는 환경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진 다수의 노드들이 자율적으로 구성되어 스스로 통신하는 망으로서 특히 군 야전 전술망의 효율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 스마트 장치는 갈수록 기능이 다양하여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동 클라우드로 서비스한다. 이동 클라우드 컴퓨팅의 중요성은 이동전화와 유비쿼터스 컴퓨팅 자원의 확산과 함께 성장되고 있다. 이것은 원격 데이터 센터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주변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많은 이점을 갖는다.

 

이동형 다중 홉 애드혹 망은 새로운 망 기술로서 이미 운용중인 메시, 센서, 자동차망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특히 기회망과 인간중심 망은 스마트 폰의 사용증가와 함께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향후 상호 복합 운용되어 보다 스마트한 망구조가 구현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동형 다중 홉 망의 기술특징은 인간의 행동과 하루생활이 자연적으로 연관되어 인간중심의 망구조 정의를 가능하게 하며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더욱 사실화 되고 있다. 인간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전화에 근거한 망구조는 장비 간 구조에서 인간 간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최근 선진국에서는 와이파이 기반의 메시 애드혹 망을 개발하여 상용화 하였으며 애드혹 기술을 기존 지역망(센서망, 자동차망 등)에 적용하여 이동성과 확장성 그리고 안정성 분야에 지속적인 성능향상을 구현하고 있다.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국내 관련기업에서 휴대폰을 이용한 이동형 애드혹 라우팅 기술을 개발하여 기지국이 없는 지역에서 단말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불특정 라우팅에 의한 보안성 저하, 연결방식에 의한 속도저하와 부하증가 등은 향후 해결해야할 주요 과제이다.




저자
Marco Conti, Silvia Giordan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52(1)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85~96
분석자
조*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