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반도체용 케미컬의 시장 동향

전문가 제언

반도체 재료 산업은 반도체 산업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핵심 분야 사업 중의 하나이다. 반도체 재료분야는 반도체 업계의 재료비용 최소화노력에 의해 반도체 소자 자체의 발전 속도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3~5년의 주기로 고집적화가 되고 미세가공 기술개발에 따라 빠르게 발전해 나가고 있는 분야이다.

 

SEMI의 최근 자료에 의하면 지역별 반도체 재료 동향은 팹(Fab) 기반 시설과 패키징 시설을 두루 갖추고 있는 일본이 최대 반도체 재료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제조업체들은 지난 수년간 Fab-light(반도체회사들이 공장설비 투자 비중을 줄이는 것)전략을 취하거나 팹 및 패키징 공장을 통폐합하는데 반해 대만의 회사들은 선진 패키징 및 파운드리 공장에 집중적으로 투자함으로서 대만의 재료시장이 일본을 앞서며 매출 면에서 최대의 반도체 재료 소비국가가 되고 있다.

 

2012년 SEMI Korea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반도체 재료 시장 471억 달러 중 대만이 27.1%로 1위, 일본이 19%로 2위, 한국이 17%로 3위이고 그 다음이 중국 12%, 북미가11%의 순이고 동남아를 위주로 한 기타 지역이 18%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소재산업 기술과 세계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 및 3세대 이동통신, DMB, 4G 등과 같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국내시장을 확보하고 있어 선진국 수준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 기초 원천 기술이나 특허, IP 확보 등에서 미약한 실정이고 부품소재 업체의 영세성, 시스템 업체와의 미약한 연계, 바이오칩 시장진입 경험 부족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앞으로 IT산업 고부가 가치 부품이나 시스템 반도체 등 소재시장 급등이 예상되므로 부품소재에 대한 정책의 중요성과 함께 글로벌 시스템 반도체 기업을 중심으로 한 공격적인 기술개발 및 마케팅이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자
Editori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35(1)
잡지명
機能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1~65
분석자
이*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