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경량화에 이바지하는 알루미늄합금의 접합기술

전문가 제언

지구환경 보호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경량화는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소재로서 고강도 강판과 알루미늄합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중 알루미늄합금은 비강도가 우수하고 내식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에서의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알루미늄합금은 열전도도가 높아 기존 자동차 조립공정에서 이용되는 저항용접을 적용할 경우 높은 전류가 필요하며 전극의 마모문제가 발생하는 등 어려움이 많다.

 

알루미늄합금은 레이저에 대한 흡수율이 낮아 레이저 파장이 짧을수록 흡수율이 개선되므로 최근에는 10.6의 파장을 가지는 CO2레이저 보다는 1대의 파장을 가지는 YAG레이저 계열을 이용한 용접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자동차 차체에 적용되는 알루미늄합금은 주로 Al-Mg계 합금인 5000계열과 Al-Mg-Si계 합금인 6000계열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비열처리형인 5000계합금은 주로 내판용에 이용되며 열처리형 합금인 6000계열 합금은 성형성, 내식성이 우수하여 외판용으로 주로 이용되는데 용접 시 가공경화부위나 시효열처리를 받은 부위가 용접시 아크입열량에 의해 연화됨에 따라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국내에서도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접합연구부에서 이미 몇 년 전에 알루미늄 소재에 대한 용접기술 및 차체부품 적용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는 직류저항 점용접방식을 이용, 전원제어를 기존의 AC(교류) 방식에서 DC(직류)방식으로 바꿔 공정제어가 쉬우면서도 제품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자동차에 이용되는 알루미늄합금은 가공방법에 따라 주조재, 압연재, 압출재 등의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용접성이 떨어지는 주조재에 비해 압연판재와 압출재의 용접 적용이 앞으로 많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Tanaka Kouj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2(9)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2~66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