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마씨 빵 섭취에 의한 식후혈당 상승억제 효과

전문가 제언

아마(Linum usitatissimum)는 중앙아시아 원산이며 섬유 작물 로 재배하고 있다. 아마종자는 일본에서는 낯선 식재료이지만 구주에서는 옛 부터 음식재료로 사용 되어 왔다. 아마 씨는 볶은 상태로 시판되고 있으며 샐러드 나 요리에 뿌려 먹거나 시리얼이나 빵, muffin에 넣어 먹거나 일본 음식 에서 참깨 같은 용도로 사용 되고 있다.

 

아마종자의 일반 성분은 지방3545, 단백질 20%, 식이섬유 28%, 수분 7.7%, 기타 회분이고 또 총 지질 중 53.57%n-3계 지방산인 α- 리놀렌산인 것이나 타 곡류와 비교하여 리그난 함량이 많다. 특히 28%의 식이섬유를 함유하여 시제 아마 빵 1개당 섬유가3.4g을 가져 일반 빵0.9g에 비하여 약 4배 함유 되었고 섬유가 지질의 흡수를 억제시켜 식후 TG상승을 억제효과를 보였다.

 

아마종자는 리그난이나 필수지방산인 α- 리놀렌산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아마 종자의 항산화작용이나 혈청지질 및 심혈관 보호 작용이 있다. 지금까지, 임상검토에 의해 아마종자섭취에 의한 항 당뇨병 효과가 확인된 보고와 명백한 아마종자가 효과가 확인할 수 없었다는 보고가 있어 더욱 임상 data가 필요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당뇨병의 예방, 악화방지에는 식후의 고혈당시정이 유용하다는 것을 임상적으로 나타나고 당뇨병이 심혈관질환의 큰 risk factor가 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최근, 식후의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저 혈당지수 Glycemic Index (GI)의 개념이 특히 주목된다. 국제 당뇨병 연합이 발표 하고 있는 식후 혈당 control에 관한 지침은 저GI식품이 식후의 혈당 조절에 유익 하다 고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마 씨를 응용한 제과 제빵은 일부 제과점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실험논문 보고는 별로 없고 외국의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우리나라도 당뇨문제가 큰 문제인 만큼 아마 씨를 제과, 제빵으로 섭취케 하여 식후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 검토하여, 아마종자의 유효성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저자
TAKAMIZAWA(UCHIDA)Naoko,MOTO Mihok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56(12)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9~25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