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대사의 체열생산과 식품기능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 대사에서 산초와 생강과의 매운맛 성분인 캡사이신이 구강 내 와 소화관을 거쳐 체내에 흡수되므로 체내의 수용체인 TRV 1을 활성화한다. 또한, 감각신경 및 교감신경 활동을 활성화해 부신에서의 온화한 분비를 촉진하여 생체내의 에너지 대사의 항진이 일어난다. 그리고 말초조직에서 교감신경 지배를 받는 BAT를 활성화해 산열과 에너지 소비를 일으켜 에너지 소비를 증진 시킨다.
○ 지방의 첨가로 교감신경 활동이 증가하므로 지방섭취에 의한 체열생산의 항진은 주로 교감신경계가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현상은 지방의 소화흡수를 저해하는 콜레스티라민 처리로 소실되므로 지방섭취에 의한 체열생산 항진의 신호는 지방의 소화로 생성하는 지방산이나 그에 의해 분비 자극되는 소화관 호르몬으로 알려졌다. 어유는 교감신경 활동의 지표로 되는 요 중 카테콜아민양과 BAT 중 탈공역단백질-1 발현량을 높여 체지방의 축적 정도가 낮아 온도 수용체 TRP 채널이 관여되고 있다.
○ 국내의 정 등은 “캡사이신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4)에서 캡사이신이 부신수질의 카테콜아민 분비증가로 에너지대사 증진 효과를 발표한 바 있고, 박 등은 “백두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014)에서 지방 전구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기전의 조절을 발표한바 있으나 BAT 기능의 증강으로 체중감소와 지방조직 중량 감소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BAT의 작용기작 규명은 비만과 연계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체질량지수(BMI=체중(kg)/〔신장(m)〕2)가 25 이상으로 정의되어 WHO는 1977년 비만을 질병으로 분류하였고 전 세계 12 억 명 이상으로 우리나라도 지난 10년간 150% 증가율을 보여 비만 국이 되었다. 이러한 BAT의 활성화와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체지방감소로 비만의 예방에 유효한 수단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eruo KAWA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23(1)
- 잡지명
- 脂質營養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15
- 분석자
- 신*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