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재료기술

전문가 제언

지구온난화나 자원고갈 등의 환경문제에 대하여는 자동차 사용이 신흥국까지 폭증하고 있기 때문에 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CO2가스 발생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차, 에코카 등이 개발되고 있고 이들 중에도 자동차를 경량화 하는 것이 연비향상과 배터리용량에 대한 주행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자동차 경량화는 자동차부품을 CFRP, Elastomer, Mg 경금속 재료 등을 스틸 대체재료로 개발하고 있다.

 

통상적 환경대응자동차는 자동차 자체에서 CO2가스 발생량을 삭감하기위하여 자동차의 엔진 압축비를 높여서 연비를 향상시키거나 부품을 철대신 CFRP 재료 등을 사용, 하이브리드차 개발 등 여러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본고의 TEEWAVE AR1 전기자동차가 CO2발생은 전혀 없지만 차체를 경량화 함으로써 화력발전소 전기를 적게 사용한 결과 CO2발생량을 줄인다는 특별한 개념적 경량화전기자동차 개발이다.

 

자동차경량화는 모노코크나 크래쉬박스 등을 CFRP 재료로 제조하여 동급의 스틸제자동차에 비해 차체 중량을 2/3 감소시키고 라이프사이클에 대하여 CO2 9%를 저감 가능한 결과를 얻은 특징적 개념차이다.

 

BMW i3 에코카는 CFRP 보디차를 2013년에 양산화 하고 있으며 CF 공장과 자동차 공장이 공동으로 재료개발을 하고 있다. 열경화형 Elastomer 재료가 개발되어 인스트루먼트패널 표피, 두어 트림 등의 내장부품, 차 내외 각종 실 부품, 튜브 류, 루프 몰 등 많은 부품이 개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삼성 . SK . GS 등 중요그룹이 탄소섬유 복합재료 시장진출을 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 선두 주자 효성은 2013년 2000톤 규모의 탄소섬유 전주 공장을 준공한 이후 고성능 탄소섬유.복합재가 새성장 엔진으로 정착되어 30개의 탄속 기업이 전주 탄소벨리에 들어 서있으며 더 입주할 전망이다. 자동차 경량화를 위하여 소재공장과 자동차 부품공장이 공동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Yamanaka Touru and Yamaguzi Kouj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2(11)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8~52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