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이캐스팅 금형을포함한 금형의 현상과 금형재의 요망

전문가 제언

2차대전 종전후 일본은 1950년대에 기능집약형 산업으로 발전되면서 1957에 일본금형 공업협회가 설립되어 기계진흥법이 지정 업종으로 되었다. 이시기에 한국은 6.25 사변으로 폐허가 되어 금형산업은 전혀 없는 상태일 때 일본은 부흥 일로에 올라서서 발전하기 시작하여 1990년대 이후에 CAD/CAM이 신속하게 보급되어 2차원으로부터 3차원으로 되었고, NC공작기계는 컴퓨터이용의 NC공작기계로 치환되었다. 우리나라도 현재 컴퓨터이용 NC공작기계화로 되어 금형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금형에 요구되는 기능은 다이캐스팅 제품의 형상과 치수, 표면 조도의 안정성 부여기능, 용탕의 열을 빼앗아 빠르게 응고시키는 열교환기능이 요구되는 데 만족한 설계와 제조가 필요하다.

 

다이캐스팅, 중력주조 및 저압주조의 금형 재료는 열간 공구강 SKD 61 등이 사용되고 주조방식은 다이캐스팅에서 고압유압 40∼80MPa, 중력주조에서 중력 0.003∼0.01MPa, 저압주조에서는 공압 0.01∼0.05MPa으로 주조하고 주조제품의 두께는 다이캐스팅은 0.5∼1㎛, 중력주조 시 300∼1000㎛, 저압주조제품 두께는150∼500㎛ 범위이다.

 

금형산업은 1950∼1960대 중반에 기능 집약형에서 기계화 진전율이 20%이고 1970년대 중반까지 기계화 진전율이 50%, 1980년대 중반까지 기계화 진전율이 70%, 1990년도 중반까지 기계화 진전율이 80%에 이르렀고 1990년대에서 현재 까지 정보화 기술 발전에 의해 고도의 시스템화 금형 산업으로 발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자동차공업에서도 금형 부품종류가 많기 때문에 몰드형 금형으로 다이캐스팅, 중력주조, 저압주조 플라스틱 금형, 고무금형 등이 이용되며, 다이형 금형으로는 두드려뽑는 형, 다이스형, 네지형, 펀치형 등의 프레스형이 사용되고 있다. 정밀한 금형을 고도의 시스템화에 의해 제조하는 산업 발전을 위해 산학연 합동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Baba Toshi yu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3(6)
잡지명
特殊鋼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12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