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단일 공정에 의한 마그네슘 합금 표면의 초발수성 막 생성: 내식 및 내오염 특성

전문가 제언

경량이고 비강도가 높아 차량용 부품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마그네슘 합금의 결정적 약점 중 하나는 내식성이 불량하다는 것이다. 초발수성(superhydrophobic) 코팅은 이 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 하나이다. 그 특징은 연잎 위의 물방울이 연잎을 적시지 못하듯이(lotus effect), 금속기지 위에 초발수성 막을 생성시켜 부식의 주원인인 물과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이런 초발수성 막 은 물론 부식성 환경에 대한 저항력도 커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리스트산이라고도 불리는 테트라데칸산과 염화제2철 결정의 혼합용액에 AZ31 마그네슘 합금판재를 담갔다가 꺼내는 극히 단순한 방법으로 초발수성 막을 생성시킨다. 막을 이루는 촘촘한 장식용 술 모양(~㎛)의 미리스트산철(Fe(CH3(CH2)12COO)3)의 COO- 그룹이 초발수성의 원인으로 드러났고, 물에 의한 적심성을 나타내는 접촉각(contact angle)은 165±2°로 매우 우수하였다. 이 막은 염수에 대한 내식성, 미생물 부착에 대한 내오염성을 나타내었다.

 

인공적 초발수성 막을 생성시키기 위해 CVD법, PVD법, 화학식각법, 졸겔법, 열수합성법, 전기방사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두 단계의 공정을 거친다. 즉, 마이크로/나노 수준으로 표면을 거칠게 하고, 그 표면을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진 물질로 개질하는 것이다. 그러나 첫 단계는 특수한 조건과 비싼 재료를 요구하고, 둘째 단계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약품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와 같이 두 공정을 하나로 줄이고, 환경 친화적 물질을 이용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자가세정성, 방수성, 내오염성의 섬유나 전자제품에 대한 초발수성 연구는 있지만, 마그네슘을 비롯한 금속제품에 대한 연구사례는 아직 없다. 자동차는 물론 다양한 분야에서 마그네슘 제품의 이용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합금 표면에 내식성과 내오염성을 부여할 수 있는 초발수성 막은 매우 유용하다 할 수 있다. 아직 내구성 면에서는 부족한 점이 많으므로 그에 대한 중점적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Lin Zhao, Qi Liu, Rui Gao, Jun Wang, Wanlu Yang, Lianhe Li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80()
잡지명
Corrosion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77~183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