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을 위한 경영관리: 경영통제와 종업원차원의 성과
- 전문가 제언
-
○ 기업이 환경변화와 산업구조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에 입각한 창조적 활동으로서 혁신이 중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경영통제가 종업원의 동기유발과 이를 통한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기법으로 다루어진다. 본 연구는 “혁신을 위한 경영관리: 경영통제와 종업원 차원의 성과”의 주제 하에 기업 내 혁신활동에 관련된 종업원의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의 유발에 있어서 경영통제와 관련된 지식특성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경영통제가 관련된 지식의 유형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게 되어 종업원의 동기유발에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그에 대한 경영통제의 영향은 이용된 지식이 덜 완전할 때에 훨씬 더 크다고 제시된다. 또한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혁신활동에서 기업의 인적자본 관리는 이직의도, 시민행동과 경영자 신뢰와 같은 종업원의 성과에 대해 시사점을 지니고 있어 종업원의 행동과 태도를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혁신이 국가 경제성장과 기업성장의 원동력이고 국제경쟁과 기업 간 경쟁에서 전략적인 핵심요소가 되어 혁신을 통한 장기적인 기업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혁신을 통한 제품/서비스의 개발은 점점 더 지속적인 조직성과에 필수적인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혁신을 통한 이러한 쇄신과정은 종종 사내 기업가정신으로 불리어지고 조직은 이 분야의 역량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 기업의 혁신에서 사내 기업가정신과 종업원의 동기유발에 대한 경영관리, 즉 인적자본 관리가 중요해짐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은 경영목표와 성과를 실현하기 위해 바람직한 종업원의 태도와 행동을 유발시키는 경영관리방안을 시행하고 있지만 기업성과의 핵심으로서 혁신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경영기법으로 종업원의 성과를 조장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기업의 혁신을 위해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와 기술혁신 정책의 강화 및 기술혁신 시스템의 실효성 제고가 필요하다.
- 저자
- Mathew R. Alle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5
- 권(호)
- 68()
- 잡지명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371~379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