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율이 큰 본질적 고분자:최신 광학기기 응용
- 전문가 제언
-
○ 본질적으로 굴절율이 높은 고분자에 대한 최근의 기술발전을 잘 정리하고 있다. 화학구조식들이 워낙 복잡하고 많아 여기에 그대로 옮기지 못한 점 양해를 구한다. 별도 표시하였으니 필요하면 원문을 참조해 주기 바란다.
○ 광학분산과 분자구조의 관계는 이론적으로 명확하다. 재료가 100% 결정이거나 무정형일 때 광학분산은 0이다. 고분자는 결정성이라 하더라도 100% 결정일 수가 없기 때문에 상당한 정도의 광학분산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광학분산을 줄이는 방향은 100% 무정형의 균일한 분자구조를 추구하는 것이다.
○ 고분자의 굴절율을 증가시키는 분자구조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실험적으로 괄목할 만한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아직 제대로 확인되지 않고 있는 분야는 이들 구조들을 복합적으로 동시에 하나의 고분자에 도입하는 연구이다. 보다 나은 결과가 기대되는 영역이다.
○ 국내에서는 이 분야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원문에 인용된 문헌에도 국내 저자의 논문은 없고 국내 학술지에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단지 년 전에 서울대학교의 한 연구실에서 이산화티타늄/고분자 나노복합재료에 대한 국내 특허가 등록되었다는 자료를 통해 굴절율이 높은 고분자시스템에 대한 약간의 관심을 엿볼 수 있다.
○ 다음 세대의 광학기기에 응용할 수 있는, 보다 향상된 물성을 나타내는 고분자의 필요성 때문에 이 분야 연구는 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면서 높은 굴절율을 발현하는 시스템의 발굴에 초점을 계속 맞추어 나갈 것이다. 유용한 분자구조들의 복합화에 의한 물성향상 추구는 미개척 분야로 남아 있다. 이에 대한 도전은 젊은 과학자들의 몫이다.
- 저자
- E.K.MacDonald and M.P.Shav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64()
- 잡지명
- Polymer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14
- 분석자
- 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