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 잠재위험에 대한 위험감도의 정량화 기술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에서 한 방법은 자신의 운전행동을 기반으로 사각지대(blind spot)에서 갑자기 나타나는 보행자를 포함하는 등 잠재적 위험에 운전자의 감도 측정을 위해서 제안되고 있다. 거리주차 차량을 지나서 주행하는 것은 보행자 사고의 큰 위험 시나리오로 불렸고 그 시나리오를 재현한 정지시험이 실시되었다.
○ 운전행동은 정상적이고 조급한 운전, 넓고 좁은 도로 및 좌측 혹은 우측에 주차된 차량을 포함하는 조건에서 측정되고 있다. 잠재적 위험에 대한 운전자의 감도는 각 조건에서 측정되었고 방법에 의한 안전운전 평가의 가능성은 조사되었다.
○ 우리는 다니는 익숙한 통근 로에 언제나 운전을 집중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으며 멍한 상태에 있고 때때로 궁리하기도 하지만 어느 사이에 목적지에 도착하고 있다. 어느 정도 경험이 쌓이면 우리는 운전이 루틴 워크(routine work)로 되고 사고 확률의 고저는 운전자 자신에 달려있는 것을 알게 된다.
○ 차량 운전자는 주위의 정적 및 동적인 환경 여건에 노출되어 있고 자주 순간적인 위험을 회피하기 어려운 위험요소에 처할 수 있게 된다. 항상 긴급한 상황의 발생에 대한 대처를 염두에 두고 여건에 대응할 태세를 갖추고 있어야한다.
○ 좁은 길 노상주차차량을 통과 시 우측운전석인 일본차량은 차량좌측을 비우려는 경향이 있다. 좌측운전석의 우리나라 차량은 일본과 반대이므로 위험감도가 반대방향에 집중하고 잠재위험에서 운전자가 위험감도를 조정하고 있다. 운전자는 주행환경에서 잠재위험에 대처를 위해 체험교육으로 운전행동의 안전 타이밍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Machiko Hiramatsu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68(4)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69~73
- 분석자
- 송*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