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물류 및 폐쇄회로 공급망
- 전문가 제언
-
○ 역물류 및 폐쇄회로 공급망 분야에서 공개된 연구들이 역물류, 폐쇄회로 공급망, 지속성 및 녹색, 4가지로 분류되어 조사되었는데, 공급망의 대상기간이 대단히 길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고, 물자의 재활용이라는 관점에서 녹색 개념이 자연스럽게 관계된다. 그리고 역물류와 폐쇄회로 공급망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대상으로 통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통합된 대상을 지속성 관점과 녹색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역물류 및 폐쇄회로 공급망은 원재료에서 중간부품으로, 중간부품에서 완성품으로, 완성품이 사용된 후에 회수되는 품목의 특정수준을 재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물자흐름 관점에서 단계가 존재하고, 최종적으로 회수되는 품목의 회수율 증대가 주요 목표가 된다. 그래서 각 단계의 각 파라미터들이 서로 다르게 정의되어야 할 것이고, 각 파라미터들 마다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최종적으로 특정 품목의 회수율 관련 파라미터들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비확정적인 접근이 사용되어 왔지만, 실제상황의 효과적인 투영과 전체적인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는 2단계 추계과정이나 퍼지이론, 혼돈이론 등의 통합적인 적용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역물류 및 폐쇄회로 공급망이 대단히 규모가 크고 대상기간이 길고, 문제 자체가 복잡다단하기 때문에 모델링도 복잡하겠지만 해법 또한 하나의 방법으로 명쾌하게 해석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발견적 접근이나 근사치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견적 접근이나 근사치 기법은 실제현장에서 이용하기는 쉽지만 최적해 관점에서 논란을 받는다. 이런 점에서 최적해와 현실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보다 더 효율적인 해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Kannan Govindan, Hamed Soleimani, Devika Kanna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240()
- 잡지명
-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03~626
- 분석자
- 이*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