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자극으로 조절되는 리보자임
- 전문가 제언
-
○ 리보자임이 알려진지는 약 30년이 되었는데, 오늘날에는 잘 이해되어 기내 및 생체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다. 특수 화학적(리간드) 또는 물리학적(온도, 광) 신호에 대한 반응에서 알로스테릭-리보자임 활성 스위치는 켜지고 꺼진다. 외부자극에 의한 리보자임 활성조절 가능성은 여러 분야에의 적용에 특히 중요한데, 즉 환경과 의학적 진단, 분자 측정, 유전자 발현 등에서다. 본 리뷰에는 다룰 수 있는 리보자임에 대한 최근진보가 검토되고 선정된 사례가 기술된다.
○ 본 리뷰와 관련된 국내 연구자의 최근 논문에는, “lacZ'와 HBV X mRNAs를 분열시키는 해머-헤드 리보자임, 전응성, KAIST 박사학위논문”, “기내-선발에서 새로운 자기-분열 리보자임 분리, Korean Chemical Society, 26(12), 2005”, “최적화된 Stems I 및 III으로 해머-헤드 리보자임의 기내-선발, 김소영 등, Korean Biochemical Journal, 31(2), 1998”, “C-형 간염 바이러스가 가장 접근할 수 있는 내부리보솜 장소 확인, 생화학분자생물학회지, 36(6), 2003”, “해머-헤드 리보자임으로 B-형 간염 X-유전자 발현억제, 김영경 등,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57” 등이 있는데, 간염에 관련된 것이 많은 편이다.
○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반면, 국내에서는 비교적 활발하지 않아 성과도 빈약한 편이다. 분자 컴퓨팅과 합성생물학 분야에 적용 잠재력이 큰 앱타자임-기초한 분자 방책과 논리-게이트는 유망한 연구 분야이다.
- 저자
- Jennifer Frommer, Bettina Appel and Sabine Mu¨ ll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1()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5~41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