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앙유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특성과 산양유치즈의 안정성 평가
- 전문가 제언
-
○ 산양유(goat milk)는 염소젖으로 카세인이 우유보다 적고 알부민, 글로불린이 풍부하며 지방함량이 많고 지방구는 미세하다. 또한 모유와 지방조성이 비슷하며 소화되기 쉽고 영양가가 높아 위장장애나 아토피성 피부를 가진 어린이에게 우유대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현재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산양유는 총 우유의 2%에 불과하며 시판되고 있는 산양유 제품은 산양시유, 산양유요구르트, 산양치즈, 산양분유가 있다.
○ 이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가능한 유산균(LAB)을 산양원유에서 분리, 특성화하고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10균주(UNIVASF CAP 4, 14, 20, 27, 29, 35, 38, 43, 138, 139)를 선정하였다. 이 10균주 중 균주 4, 14, 20, 35, 38, 139는 L. plantarum, 27과 43은 L. casei, 29와 138은 E. faecium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선정된 10개의 혼합균주를 첨가하여 만든 산양유 수제치즈의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였다.
○ 최근 국내에서는 산양유 섭취와 운동이 비만여성의 인슐린저항성과 adipokine에 미치는 영향(허선 등 2014)에 관한 연구를 비롯해서 산양유의 조성과 식품영양학적 의의(김효희 등 2014), 전남지방 산양유성분과 체세포수의 계절적 변화/산양유에서 분리된 세균의 분포와 항균제 감수성 검사(김혜라 등 2013/2012), 국내 산양유제품 내 젖소 유성분의 혼입에 대한 조사(정태환 등 2013), 산양유의 농장별, 계절별 성분분석(안종호, 박웅렬 2008), 산양유Kefir에서 분리한 유산균 특성(임영순 등 2008), 산양유요구르트 제조조건의 최적화(함준상 등 2007), 산양유Feta치즈의 특성(강석남, 박승용 2006) 등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 농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의 우유 소비량은 2000년 30.8kg에서 2013년 27.7kg으로 감소되었지만 치즈의 소비량은 2000년 0.94kg에서 2013년 2.2kg(자연치즈 1.7kg, 가공치즈 0.5kg)으로 2배 이상 늘었다고 한다. 미국의 1인당 치즈 소비량이 15kg, 유럽은 20kg임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치즈 소비량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국내 소비시장의 대부분은 수입산 치즈가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국산 자연 치즈의 홍보는 물론 치즈원료에서 제품생산까지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Washington Luiz Goncalves de Almeida Junior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53()
- 잡지명
- Food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96~103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