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의 자동운전기술동향과 개발실례

전문가 제언

교통사고의 90%가 인적과오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안전성과 쾌적성의 향상, 교통용량의 증가, 효율적인 물류체계의 형성, 고령 과소지역에서의 차세대 이동 수단 제공 등 많은 장점이 있어 운전자 지원 및 자동운전자동차의 실용화 개발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요소기술를 해설하면서 Kanasawa대학이 실제로 개발한 자동운전자동차의 실례를 소개하고 있다. 미국 국방연구계획국(DARPA)이 개최하고 있는 로봇분야 challenge에서 언제나 미국과 경쟁하며 상위에 렝크되는 일본에서 개발되고 있는 기술동향을 살필 수 있는 보고서이다.

 

2014년 여름에 Google은 운전대와 브레이크페달, 액셀페달이 없으면서 목적지까지 태워다 주는 Google Self-Driving Car를 소개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에는 GPU(Graphic Process Unit)을 활용한 인공지능 뇌신경 심층학습기법이 크게 활용되고 있고 2000년대초의 슈퍼컴퓨터 유사한 성능으로 실시간 화상인식을 수행하는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있다.

 

삼성테크원은 Off-Road 무인자동차를, 현대/기아차는 Google, Honda Benze 등이 참여하는 Nvidia주관의 자율주행자동차개발 Open Alliance에 참여하고 있다. 완성차제조사와 Tesla, Google 등 ICT기업이 2020년후에 전개될 막대한 먹거리 산업에서의 기술경쟁력 확보에 총력을 기우리고 있다.

 

중국은 GPU의 병렬계산능력을 활용하여 세계 1위의 슈퍼컴퓨터를 개발했다. 무인자동차에는 여기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술들이 모두 들어 있는 것이다. 우리는 자동차강국이면서 ICT강국이다. 여기에서 뒤처지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일본 완성차기업은 무인자동차 주행시험을 미국 등에서 시행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무인자동차의 공도실험을 막는 규제 등이 있다면 없애야 한다.

저자
N. Suganu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5
권(호)
98(1)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8~53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