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평판유리의 개발방향과 에너지 저감 및 환경보호
- 전문가 제언
-
○ 유리는 우리가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매우 오래된 재료이며, 그 중에서 판유리와 병유리 제품은 성분이 소다석회유리로 전 세계 유리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LCD TV나 스마트폰 등의 정보디스플레이 표시 부분에 유리가 사용되면서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판유리와 평판유리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평판유리란 의미는 정보통신이나 태양광 부분에 사용하는 유리라는 의미가 더 크다.
○ 이 문헌은 세계 유리시장에서 매출이나 생산 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평판유리 산업의 발전현황 및 중국의 기술과 에너지 절약, 환경 보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평판유리 산업의 미래 발전방향에 초점을 맞추고 유통, 기술 혁신, 시장 동향, 제품 구조, 에너지절약 및 환경보호 등의 여러 측면에 대해 기술하였다.
○ 세계 평판유리 시장은 건축유리, 자동차유리, 정보표시용 유리, 태양광 유리, 특수유리의 5개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건축이 45%, 자동차 29%, 기타 유리가 26%를 점유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이 가장 많은 유리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기술과 제품 품질 면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전문가는 원문을 참고하면 각종 데이터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국내 유리 시장규모는 2007년 이후 급격한 증가세를 나타낸다. 2009년도에 약 12조원의 규모이며 2012년에 조금 감소하였으며, 전체 시장의 70% 정도가 디스플레이용 유리이다. 국내 판유리는 한국유리공업과 KCC에서 생산을 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유리는 삼성코닝정밀소재, NEG, Asahi glass, Avan Strate가 생산을 하며, 2012년에 LG화학이 새로 공장을 완성하고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 유리산업이 중장기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과제는 ① 유리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차세대 프로세스와 생산기술 ② 유리의 특성을 최고로 높인 고기능?신재료 기술 ③ 순환형 사회의 구축을 위한 환경관련 기술에 대한 것이 중요하다. 특히, 프로세스 관련기술에는 새로운 용융프로세스, 성형프로세스, 초박형 대면적 유리성형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Peng Sho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41(1)
- 잡지명
- Glass physics and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8
- 분석자
- 김*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