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라인에서의 비파괴검사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 항공 산업 발전 기본계획은 2008년 기준 세계 16위권인 국내 항공 산업을 10년 후에는 7위권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08년 기준 19억 달러인 항공생산을 오는 2020년에는 200억 달러까지 올리고 수출 100억 달러를 달성할 계획이다. 또한 항공기업 300개 육성과 7만개 고급 일자리 창출도 기대하고 있다. 항공만을 별도로 떼어내어 2019년까지 장기계획을 마련한 이유는 무엇보다 휴대전화나 정보통신 등 다른 분야에 비해 항공 산업이 국제수준에서 상당히 뒤져있다는 판단에서이다.
○ 그간 국내 항공 산업은 군수위주로 육성되었었고 게다가 완제기 생산은 더욱 부진했고 1999년 국내유일의 완제기 업체인 대한항공설립 이후에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는데, 제작에만 중점을 두던 대한 항공은 항공부품 수출산업을 점차 설계분야로 넓혀가면서 1989년 우리나라 항공 산업 최초로 항공기 부품을 설계까지 수행하여 맥도널더글러스사 기종인 MD-11의 날개에 조립되는 스포일러를 제작하였다. 1994년에는 고난도의 설계 제작 기술이 요구되는 MD-95항공기의 곡면 기수동체부분 제작에도 성공하였다.
○ 항공우주산업은 항공기 및 관련 부속기기와 부품 등 우주비행동체와 발사체, 항공에 대한 발사체, 지상지원 장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종합산업인 동시에 고부가가치의 부품제조 산업이며 제품의 특성상 신뢰성, 안전성, 정밀성, 경량화 등을 요구하는 첨단기술 산업이다.
○ 이러한 항공우주산업은 개발과 제작에서 신뢰성과 안전성이 특히 요구되는데, 소재나 부품의 제작 과정과 운영 중에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비파괴검사이다. 비파괴검사는 대상물의 내부조직 변화나 결함에 의한 방사선, 초음파, 자기 등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재료를 파괴하지 않고 탐색 규명하는 것으로 비파괴검사의 종류로는 육안검사, 방사선투과검사, 중성자 투과검사, 적외선검사, 와류탐상검사, 자분탐상검사 등이 있다.
- 저자
- Yasushi Yamashit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63(2)
- 잡지명
- 非破壞檢査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58~64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