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나의 식품 안전성과 식품 위생 연구

전문가 제언

이 리뷰는 가나의 식품 안전성과 위생을 문헌리뷰를 통해 연구되었다. 식품연구는 가나의 수도에 특히 집중되었고 대부분 연구초점은 상용 식품운영에 있었다. 특히 노상 식품과 규격식품에서 정보가 제한적인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식품 위험성을 다루고 있다.

 

가나공화국은 아프리카 기니만에 접한 연안국가로 해안지대는 황금해안으로 알려져 유럽 각국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가나의 식품 위생은 유럽인의 높은 관심의 대상이며 인구의 55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우리는 식품위생법 제28항에서 식품위생이란 식품, 첨가물, 기구 또는 용기, 포장을 대상으로 하는 음식에 관한 위생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주로 식품 가공분야를 대상으로 한정하고 있다.

 

1955 WHO식품위생이란 식품의 재배, 생산, 제조에서 최종적으로 사람에 섭취되기까지의 모든 단계에 걸친 식품의 안전성, 건전성 및 완전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모든 필요한 수단을 말한다.”고 하고 있어 식품위생의 범위를 원료생산에서 최종 소비까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연구로는 2006년 원은 중소규모 식품산업체를 위한 HACCP 적용 방안2011년 김 등은 식품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식품위생지식과 실행도 비교를 발표했다. 특히 2014년 유는 한국, 중국, 미국 소비자의 식품안전 체감과 식품안전 역량 비교 연구에서 세계화 시대의 현대 소비자의 요구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각국이 처해있는 내용을 보고했다.

 

식품 위생은 고조선 시대부터 깨끗한 옷과 음식에 관심을 쏟았으며, 더러운 것을 피하고 질병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주술적인 방법을 쓰기도 했다. 오늘날 소비자의 눈으로 안전한 식품은 완전무결한 식품을 얻을 수 있는 전제조건이 된다. 그러나 식품의 안전성, 건전성 및 완전무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현실적인 수단을 찾기가 어렵고 이는 완전성을 추구하는 노력과정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이 학문적으로 더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저자
Patricia Foriwaa Ababio, Pauline Lovatt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47()
잡지명
Food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2~97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