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채소 가공식품 중의 유전자 변형 토마토에 범용되는 재조합 DNA 배열 검출에 대해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전 세계 유전자 변형 농작물의 누적 경작면적은 10억 헥타르를 넘어섰으며, BT 작물을 재배하는 미국, 캐나다, 인도, 브라질, 중국 등 29개국은 전 세계 인구의 52%를 차지하고 있고, 우리나라, 일본 등과 같이 BT 작물을 수입하는 나라 30개국을 더하면 전 세계 인구의 75%BT 작물을 소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152월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식용으로 허가하고 있는 GM작물은 총 농산물 143건 가운데 콩(20품종), 옥수수(66품종), 감자(4품종), 카놀라(12품종), 면화(21품종), 사탕무(1품종), 알팔파(1종류)7작물이 있으며, 허가 내용을 매달 한 번씩 발표하고 있는데, 토마토는 아직까지 허가되지 않았다.

GM토마토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도, FLAVR SAVR8805R 같이 이런 검사법으로는 발견할 수 없는 계통이 앞으로도 개발 될 가능성이 있어, 미심사 GM토마토의 국내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GM토마토의 개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도 검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상업화가 승인된 GM작물들의 특성을 보면 첫 단계에는 제초제저항성, 해충저항성, 바이러스 저항성 유전자가 도입된 작물 등으로 농업적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단일유전자가 도입된 것들이었으나 최근 들어 지방산 조성을 변경하거나, 특정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꽃 색을 변경시킨 제 2세대 GM식물들의 승인건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GM 작물은 기존 육종의 한계를 극복할 필수 최첨단 농업기술이나, 막대한 투자규모와 비 호의적인 국민정서 등으로 국내 종자회사들이 개발을 기피하는 실정으로, 세계 종자시장의 35% 이상이 GM종자로서 GM종자는 이미 상용화 되어있고, 이들 GM종자 개발은 대부분 선진국의 다국적 기업이 독점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경험 및 기술부족, 연구기반 미약 등으로 상업용 GM종자 개발은 성공한 사례가 없다.

저자
Mamiko Kitagawa, Kosuke Nakamura, Kazunari Kondo, Shoji Ubukata and Hiroshi Akiyam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55(6)
잡지명
食品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47~253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