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부패육을 섭취하는 소형 권패 2종에 대한 복어 독 급이 실험

전문가 제언

부패육을 섭취하는 소형 권패 중에는 복어에 포함된 독소인 테트로도톡신(TTX)을 함유하는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소형 권패를 사람들이 먹고 식중독에 걸리는 사례가 중국이나 대만 등에서 발생했다. 또한, 일본에서도 이들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하여, 본 보고서에서는 무독의 소형 권패 2(고부무시로와 아라무시로)에 복어 난소를 급이하여 독화 모델 실험을 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복어 독으로 알려진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은 신경에 작용하는 독의 일종으로, 복어의 난소나 간장에 많이 들어 있는 맹독으로, 일반적으로 복어의 산란기(겨울~) 때 난소에 가장 많다. 말초신경과 중추신경에 작용하며 생명에 위험한 맹독이다.

 

소형 권패에서는 테트로도톡신 외에도 스루가톡신(surugatoxin)과 네오스루가톡신(neosurugatoxin) 등이 분리되기도 하며, 육식성 소형 권패의 독화는 지역 차와 개체차가 크고, 독력은 7~10월에 현저히 강해진다. 본 보고서에서 2종의 소형 권패에 복어 난소를 급이해 독화 실험을 하여 독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심하게 독화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하절기에 남해안 오염해역에서 잡힌 조개류를 먹고 식중독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것은 해역의 오염도나 먹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오염지역에서 잡힌 조개류를 청정해역에서 양식하면 독소가 없어진다는 실험 결과들이 있는데, 본 보고서에서 행한 실험 결과도 이들과 일치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바다의 오염을 줄이면 해산물에 의한 식중독을 줄일 수 있다는 예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부기관에서 조개류에 의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 하절기에 조개류 먹이인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해수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등 노력을 하고 있으며, 더 많은 연구와 함께 해양 오염을 줄이도록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Ryohei TATSUNO, Taiki SORIMACHI, Shigeto TANIYAMA, Naomasa OSHIRO, Hirofumi KUBO, Tomohiro TAKATANI, Osamu ARAKAW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55(3)
잡지명
食品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2~156
분석자
백*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