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 열수(hydrothermal)처리 기술동향
- 전문가 제언
-
○ 열수처리(hydrothermal processing)는 생물자원을 고부가가치의 생산물이나 바이오연료로 전환하는 데에 사용되는 중요한 열화학적 전환방법으로서, 생물자원은 열수처리 조건인 4~22 MPa 및 250~374℃ 물에서 더 작은 성분으로 열화하며, 온도와 압력 및 시간 등의 공정조건은 바이오오일이나 바이오가스 또는 바이오탄소 등에 따라 선정된다.
○ 다량의 습기를 함유하는 대부분의 생물자원들은 어떠한 형태라도 열수작용에 의해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동시에, 그 공정에서 폐기물과 생물자원이 단독 또는 공동으로 취급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열수처리용 생물자원의 평가에 많은 노력이 경주되어오고 있다.
○ 본 개관에서는, 생물자원 열수처리 및 생물자원 열화경로의 이해를 위해 물의 아임계 및 초임계 등 열수조건에서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생물자원과의 상호작용 및 다양한 형태의 열수처리 생산물에 대한 특성 그리고 유용한 생물자원과 에너지원으로서의 용도 및 관련 전환기술들이 재조명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도에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및 해조류 등의 바이오 폐기물을 에너지자원으로 전환하는 연속식 열교환 열수분해 기술개발과 더불어, 2014년도에 음식물의 폐기물 및 하·폐수 오니슬러지 등 유기성폐기물의 가압열수분해를 위한 처리장치가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해조류 바이오매스 그린에너지화 및 통합 활용기반 구축을 위한 해양수산부 학술연구용역에서 아임계/초임계 수 가수분해공정이 고찰된 바가 있다.
○ 본문은 향후 국내 생물자원 열수처리 기술의 발전과 상업화를 위해 관련 산업계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기술조감도의 역할을 할 것이다.
- 저자
- Kubilay Tekin, Selhan Karagoz, Sema Bek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40()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73~687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