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CO2 반응에 의해 형성된 친수성 코팅제
- 전문가 제언
-
○ 이 발명은 대기 CO2에 노출될 때 코팅된 표면이 소수성에서 친수성 및 자가-세정(self-cleaning) 표면으로 변화되는 페인트와 코팅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으로 코팅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코팅조성물은 중합체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가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으로 친수성 고분자 코팅을 형성할 수 있게 설계된 구아니디닐, 아미디닐, 히드록시알킬아미노알킬 또는 디히드록시알킬아미노알킬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선정된 관능기를 포함하는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 코팅제와 페인트들은 기재를 미화하고 주변 환경 요소들로부터 표면을 보호하며 부식과정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나 소수성으로 인해 더러워질 수 있다. 최근 산업발전과 더불어 대기오염이 심각하고 이들 오염물질은 자동차 배기가스, 매연 등 소수성 물질들로 대부분의 도장표면은 유기기이기 때문에 이들 오염물질이 쉽게 부착할 뿐만 아니라 오염흔적을 제거하기 어려워 장기간 미관을 유지할 수 없다.
○ 이 발명에서의 조성물은 비닐고분자, 아크릴고분자, 스티렌고분자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된 중합체가 표면에 구아니딜기, 펜던트 아미디닐기, 히록시알킬아미노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아미노알킬기를 갖도록 설계되어 대기 중의 CO2와 반응하여 음이온, 양이온기나 이들의 조합 및 쌍성이온(zwitterionic)이나 다가전해질 관능기를 생성하여 친수성 및/또는 자가-세정 표면을 만들도록 설계한 것이다.
○ 대부분의 비오염성 및 친수성 도료는 친수성 표면 개질제를 첨가하여 소수성 물질의 부착을 방지하지만 표면 친수화가 늦어 내 오염성과 세정효과가 낮다. 국내의 경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도료를 중심으로 고내후성 친수성 도막 형성용 도료 등이 개발되어 이 발명이 국내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나, 탁월한 내후성을 갖도록 도료를 이루는 중합체는 소수성을 유지하면서 표면은 대기 중 CO2와의 반응으로 친수성을 갖도록 하는 착상이 돋보인다.
- 저자
-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200484
- 잡지명
- Hydrophilic coatings formed by atmospheric CO2 rea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0
- 분석자
- 김*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