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기자동차용 최신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환경성능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산업의 발달, 인구의 증가, 경제 규모의 증대 등으로 인해 자동차의 보급이 확산되고, 유가 상승과 CO2를 포함하는 배기가스에 대한 전 세계적인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자동차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친환경자동차용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새로운 기술 개발 및 도입을 촉진시키고, 외부 충전 시스템을 구축하여 주행거리를 확장하는 개발이 경쟁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본문은 고출력, 고 에너지 리튬 철 인산염 셀로 구성된 최신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시스템(HESS)에 대한 환경성능을 리튬 망간 산화물로 구성된 독립형 배터리의 환경성능과 비교하였다. 환경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명주기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방법을 사용하고,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12개 분야로 나누어 배터리 팩의 제조, 사용 중 및 수명종료 단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기능 단위는 유럽 평균 조건하에서 1km의 주행을 기준으로 하고, 총 150,000km를 주행하는 경우와 300,000km를 주행하는 경우 두 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환경 성능을 평가하였다. 시나리오 1의 경우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효율이 높아지면 제조 단계의 환경영향은 높아지지만 사용 단계의 효율은 감소하고, 시나리오 2의 경우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수명기간이 연장되면 주행 거리 당 배기가스가 감소하였다.

오바마 정부는 2015년 전기자동차(EV) 100만대 보급을 목표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기술개발 관련 48개 프로젝트에 총 24억 달러를 지원하고 이 중 15 억 달러를 배터리 관련 산업분야에 지원할 예정이다. 국내 기술동향은 원천 및 소재기술, 실증경험 측면에서 선진국 대비 경쟁력의 약세로 아직 상용화 시작 단계이다. 친환경자동차와 에너지 저장시스템 기술의 발전은 계속될 것이고, ESS기술을 확보하는 기업이 미래의 친환경자동차 시장을 지배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응용분야별 기술개발 전략과 부품소재분야 전문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확대가 필요하다.

저자
Javier Sanfelix , Maarten Messagie , Noshin Omar , Joeri Van Mierlo , Volker Hennig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137()
잡지명
Applied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925~930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