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간 지리 데이터 스트림의 공식적인 프레임워크와 구현

전문가 제언

 ○ 시공간(spatio-temporal) 데이터베이스는 시공간 객체를 관리하고 대응하는 질의 언어를 지원한다. 이동 객체 데이터베이스라는 용어는 오늘날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공간 지리 위치를 가진 공간 객체를 관리하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와 동의어가 되고 있다.


  ○ 최근의 무선통신과 공간적으로 가능한 디바이스의 소형화 및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서비스(GNSS)’의 발전은 수많은 새로운 응용분야를 가져오고 있다. 지리 센서 네트워크, 이동 객체 추적과 같은 새로운 도메인에서의 응용은 다량의 연속적인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고 있다. 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데이터 스트림 관리 시스템(DSMS)이 개발되고 있다.


  ○ 그런데 기존의 DSMS는 주로 관계형 패러다임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공간 지리 데이터를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간 모니터링과 경고로부터 처리된 공간 지리 데이터의 장기간 분석에 이르는 공간 지리 데이터 스트림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공간 지리 데이터를 지원하는데 필요로 하는 데이터 형태와 연산을 포함하는 공식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결과는 새로운 완벽한 지리 공간 DSMS의 구현과 공개 소스 제품과 연구 프로토타잎의 확장에 기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공간 지리에 관련된 국내 연구는 교통, 해양, 재난 및 항공영역에 걸쳐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연구 결과는 실제로 활용되기도 하는 활발한 연구영역이다. 이동 객체를 다루는 모든 시스템에서 질의 문제를 포함한 연구가 진행된다. 데이터 스트림 분야에서의 연구는 사물 인터넷을 통한 이동 객체에서 발생하는 시간과 공간 데이터 스트림 연구와 더불어 빅-데이터 분석에 많이 활용될 최신 기술의 하나이다.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비롯하여 공간 지리 관리시스템을 연구하는 기업과 학자들의 좋은 연구 결과가 기대된다.

저자
Z. Gali? , M. Baranovi? , K. Kri?anovi? , E. Me?kov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91()
잡지명
Data and Knowledge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16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