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라피아 기름과 부산물의 바이오디젤 잠재력
- 전문가 제언
-
○ 디젤을 대체할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디젤은 유지계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 가능하다. 바이오디젤은 디젤과 달리 약 10%의 산소를 포함하고 있어 연소 시 바이오디젤에 포함된 산소로 인해 보다 완전한 연소가 일어나므로 디젤에 비해 대기 오염 물질이 40~60% 이상 적게 배출된다. 또한 바이오디젤 1㎏ 사용 시 디젤에 비해 CO2 2.2㎏의 배출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바이오디젤은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독일이 최대 생산 국가다. 바이오디젤 산업은 세계에서 가장 성장성이 큰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바이오에너지 이용이 상대적으로 미흡하지만 2020년에 에너지 자급률을 35%까지 올릴 계획이다. 현재 국내의 바이오디젤기술은 외국의 선진 업체와 비교하면 경쟁력이 부족하고, 내수시장의 한계, 원료공급에 있어서도 원활치 못하다. 해결책으로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원료 개발, 해외농장 개척, 바이오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나라와의 공동사업을 검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수송용 디젤 소비량은 휘발유 소비량의 2배에 달할 정도로 많은 편이며 디젤은 환경오염이 심해 바이오디젤을 통한 대체가 시급함에 따라 바이오디젤을 우선 보급하고 있다. 정부의 발표에 의하면 국내 수송용 바이오연료 시장은 현재 초기 단계이지만 2021년부터 2030년 사이에 가장 큰 증가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국내에서는 식용 바이오매스를 원료로하는 바이오연료 기술은 상용화 되어있지만 비식용 바이오매스(예: 도시폐기물, 미세조류, 폐식용유등)를 원료로하는 바이오연료 기술 및 수소를 생산하는 바이오연료 기술은 연구개발 단계에 있다. 비식용 바이오매스는 식량자원과 연계되어있지 않으므로 수급이 안정적이다. 따라서 비식용 바이오매스와 관련된 기술을 집중 연구 개발하여 확산시켜야 한다.
7○
○
- 저자
- Gislaine Iastiaque Martins et.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42()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34~239
- 분석자
- 유*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