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자력과 화석연료에 의한 해수담수화플랜트 비교분석

전문가 제언

OECD 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세계인구의 40%가 식수난과 농업, 산업용수난에 직면하고 있고 특히 2025년에는 52개국 30억 명이 물 부족으로 고통을 받을 것이라고 한다. 물 부족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지하수 이용, 인공강우, 해수담수화를 들 수 있는데 이 중 해수담수화 플랜트만이 물 부족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으로 간주되고 있다.

 

해수담수화방식은 열원을 이용하여 해수를 가열하고 발생한 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를 얻는 증발법과 삼투현상(Osmosis)을 역으로 이용하여 해수를 반투막(Semi-permeable Membrane)을 통과시켜 담수를 생산하는 역삼투법(RO, Reverse Osmosis)이 해수담수화의 대표적인 방식이다. 현재 널리 상용화된 해수담수화방식은 다단증발법(MSF, Multi-Stage Flash)과 다중효용법(MED, Multi-Effect Distillation) 및 RO의 세 가지 기술인데 MSF 또는 MED와 RO를 혼용하는 하이브리드방식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국내의 경우 두산중공업(주)은 해수담수화 플랜트기술의 선두주자로 1978년 사우디아라비아 파라잔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중동시장에 진출하였고 모듈공법 등을 개발하여 세계 1위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2000년대에는 UAE 후자이라 담수플랜트, 사우디아라비아 쇼아이바 담수플랜트 등을 수주하여 세계시장 점유율 1위(40%)를 차지하였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SMART(System-integrated Modular Advanced Reactor)는 해수담수화에 활용할 수 있는데 열 출력이 330MW로 이 열을 이용하면 하루에 4만 톤의 담수와 10만kW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인구 10만 명 규모의 도시에 전기와 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SMART는 모듈식이기 때문에 용량확장도 모듈만 연결하면 된다. 그러나 스마트의 경우 해외수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파일럿 플랜트에 의한 검증을 통한 실적을 쌓아 국제경쟁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저자
K.C. Kavvadias, I.Khami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4()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4~30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