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긴 사슬지방산 생합성 저해형 제초제의 저항성

전문가 제언

  과거 약 60년 동안 긴사슬지방산 생합성을 저해하는 제초제인 chloroacetamides(K3)thiocarbamate(N)은 옥수수, , , 밀과 같은 주요 작물에서 화본과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하여 왔다. 이들 제초제는 발아 전 토양에 처리되었으며, 다중의 생리적 작용기작(ELS, ACCase. glyphosate)에 대한 다중저항성이 발현된 잡초집단 방제에 귀중하게 이용되고 있다.

 

K3계열 제초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초종 중에서 Alopecurus myosuroides, Lolium multiflorumacetamide계인 flufenacet, Lolium rigidum은 여러 다른 chloroacetamide, pyroxasulfone에 저항성을 보인다. N제초제 계열에서는 8종의 화본과잡초에서 저항성이 발현되었다. Triallate 저항성은 메귀리 그리고 벼에서 피 종류는 thiobencarb, molinate에 저항성을 보였다. Lolium rigidumK3N 두 제초제 계열 간에 교차저항성(cross-resistance)을 나타냈다.

 

  피는 아시아지역 벼 포장에서 chloracetamide계인 butachlor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피 방제를 위하여 과거 오래 동안 단제로 사용하였지만 근래에는 다른 피 방제용 제초제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또한 butachlor는 합제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butachlor에 대한 피 저항성은 물론 다른 chloracetamide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도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 저항성잡초 발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저항성잡초의 종합적 방제에 대한 대책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Roberto Bus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70()
잡지명
Pest Manageme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78~1384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