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포괄적인 문헌고찰을 기초로 산업공생을 증진하기 위한 개입 및 촉진 정책에 관한 연구의제에 대하여

전문가 제언

정부정책의 어떤 역할이 IS(산업공생)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질문은 연구가들에게 상당이 관심을 갖는 문제이다. IS에 관한 정부정책조치의 효과는 여러 이유 때문에 아직은 분명하지 않다. 본 논문은 산업공생에 관한 문헌을 전체적으로 고찰하여 이를 기초로 IS에 대한 정책 개입과 촉진시키는 메커니즘을 구명하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정책 개입과 촉진이 IS 발전에 영향을 주는 실질적인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동적처리개념을 수반해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IS연구는 정책과학으로부터 통찰력을 이어받아 CE와 EIP에 대한 정책전이가 동적처리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SEPA(Stat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주정부환경보호국)의해서 IS정책이 선정되고 CE와 EIP 개념이 국가적 프로그램으로 전이되었다. 2001년에 국가시범 EIP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2008년에 세 산업단지에 처음으로 조정그룹이 산업단지를 평가하고 국가시법 EIPs의 수준을 지정했다. SEPA는 CE 개념에도 관심을 보여서, 중국내 CE는 환경보호개념으로부터 지속가능경제개발 개념으로 전환되었다. 2009년에 환경경제증진법이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앞으로 IS에 관한 핵심의제는 정책처리와 산업공생실현과 연계하는 일(사업) 순서를 식별하여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요 의제는 산업단지를 국가 정책개입으로 실현시키는 방안, 실제 경험에서 나온 지식을 국가정책에 반영하는 방안, 정책전이처리효과 전파 및 측정, 다른 정책처리와 관련한 IS 및 CE 정책전이처리 방안, 국가 전체 IS개념을 다른 국가정책 프로그램으로 전이하는 방안 등이 있다.

 

한국 산업자원통상부는 2005년부터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제조업 생산기지인 산업단지를 생태산업단지로 전환하기 위한 3단계 15년 생태산업단지 사업(2005-2019)을 추진 중에 있다. 생태산업단지는 앞으로 지속가능경제개발 및 환경경제증진으로 발전해야한다.


저자
Wenting Jiao, Frank Boon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4
권(호)
67()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4~25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