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목질소섬유소에 의한 바이오부탄올 생산: 마비상태와 가능한 구제

전문가 제언

화석연료와 석유화학에 의해 초래된 환경위험과 공급량 감소에 대한 반동으로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바이오연료와 생물기반 화학물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바이오메스가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될 수 있다. 풍부한 탄소중립 재생원료 물질이 연료와 화학제품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

 

원유가격의 급등과 원유생산량 감소 등의 위협으로 선진제국들이 바이오연료 개발에 나서고 있다. 바이오연료는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처럼 일방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휘발유와 성분이 유사한 바이오부탄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경향이다. 바이오부탄올은 에너지 밀도, 휘발성, 옥탄가, 불순물함량 등이 고급 무연휘발유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생산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고급바이오부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미국의 경우 미생물학을 위한 미국협회에 의해 온라인 전용과 오픈 액세스 저널에 추천기사로 발표된 논문이 소개되었다. 미생물은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바이오메스의 다양한 소스로부터 바이오연료의 생산을 위한 효율적인 생체촉매인 것이 입증되었다.

 

한국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부 이 교수팀은 부탄올생산 가능한 박테리아 중의 하나인 아세톤부탄올세균의 성능을 향상시켜 부탄올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사공학접근방식을 적용하였다. 가솔린, 디젤, 제트연료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연료는 원유의 철저한 정유공정을 통해 얻어진다.

 

전남대 배 교수팀은 옥수수의 식물에서 직접 추출하는 1세대를 거쳐 셀룰로오스에서 추출하는 제2세대 바이오연료 개발이 진행되는 상황이라며 특히 많은 국가들은 바이오연료 기술 개발보다는 이를 상용화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연료 시장규모는 지난 2014년에는 약 19조200억 원에서 2016년에는 약 75조75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도 바이오연료 생산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저자
Amruta Morone, R.A. Pande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7()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1~35
분석자
정*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