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의약 개발: 도입 모델의 경제와 조직 지지도

전문가 제언

국내 의약계에서도 의약개발에 관한 관심도가 높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제약회사들은 사내 연구소를 주축으로 해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고, 학계에서는 각 대학들의 의-약학 및 생명과학분야의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연구생들과 프로젝트 중심의 의약개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국내 의화학계열 연구소들은 별도로 팀별로 의약개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다.

 

문제는 국내 기업체 연구소나 각 대학의 연구팀들이 진행하고 있는 의약개발 연구들이 어떤 측면에서는 실질적으로 착수해서 잘 감당하는 면이 있다. 그러나 한편 최종 목표를 향해 계속 연구들을 진척시켜 나가는데 길이 멀고 해결해야할 일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이 최종 목표를 향해 나가는데 그 한계와 문제점들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극복하고 해결해야 할 일들이 있다. 그래서 선진국들에서 이미 경험하고 성공한 모범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안전하게 연구기금을 투자할 수 있는 아카데미의약개발센터(ADDC)모델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경제성과 기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ADDCs를 설립해서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미 설립해서 기반을 잘 닦고 운영해온 미국이나 영국의 사례를 보고 배울 것을 제언한다. ADDCs 설립은 국내 각 대학이나 기업체들의 모범적인 협력연구로 의약개발 공동연구센터를 세우면 크게 전망이 있다고 예측된다.

 

국내에서도 앞으로 전망이 밝은 의-약학과 생명과학분야에 ADDCs를 세워 대학과 산업체들이 의약개발에 관한 공동연구의 대상과 목표를 설정하고 창의성 있는 아이디어로 각 종 난치병 환자들을 위한 약제개발을 서두를 것을 제언한다. 이전에 수행해왔던 방식보다 더 구체적이고 적극적이며 상호협력 가능한 ADDCs의 모델로 성공할 수 있기를 바라고 그 방안을 제언한다.

저자
Henriette Schultz Kirkegaard, Finn Valent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19(11)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699~1710
분석자
성*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